매일 수산물 유통 전 방사능 검사 실시…바닷물까지 확대
‘안전 홍보 외에는 딱히 방법 없어’ 답답한 지자체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수산업계 비중이 높은 경북 동해안지역은 일찌감치 방사능 대응태세에 돌입했다.
아무리 정부와 연구기관이 앞서 '오염수가 인체에 해를 끼칠 만큼 우려할 정도가 아니다'라는 데이터를 내놓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의 수산물 소비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는 탓이다.
지난 6월부터 포항시는 기초지자체 최초로 수산물 방사능 측정 시설을 구축해 현장 검사를 시행 중이다.
매일 오전 1시쯤 포항수협과 구룡포수협 등 주요 유통시설을 중심으로 당일 유통이 이뤄지는 품목에 대한 시료를 채취한다. 대상은 문어 등 지역 생산 수산품 27건과 건어물 등 수산 가공품 23건 등 지역 대표 수산물 50개 품목이다.
검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방사능 검사 지표로 삼는 요오드(131I)와 세슘(134Cs·137Cs)의 검출 여부를 판가름한다.
보통 결과는 검사 방식에 따라 30분~3시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진다. 늦어도 당일 오전 3~4시쯤이면 결과가 나오기에 본격적인 수산물 유통이 이뤄지기 전에 미리 방사능 검출 여부를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해 포항시는 지난 18일부터 아예 '해수 전처리 시설'까지 구축하고 바닷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도 들어갔다. 바닷물 검사는 워낙 정밀하게 진행되기에 통상적으로 2~3일 정도 측정 시간이 필요하다.
이렇게 시행되는 방사능 검사만 매월 40건 이상이다. 검사 결과는 모두 포항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다. 아직까지 검사에서 방사능이 검출된 적은 한번도 없다.

영덕군도 이달 30일까지 2천500만원을 투입해 수산물 방사능 검사장비 구축을 완료하고 내달부터는 본격적으로 자체 검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방사능 기준치 이상이 나온 수산물은 유통을 보류시키고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에 보내 정밀 검사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매일 시행되는 방사능 검사 결과는 영덕군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울진군 역시 수산물 방사능 검사 장비를 구입해 주기적인 검사에 들어갈 계획이며, 경주시는 지난 2013년부터 부경대 방사선과학연구소에 의뢰해 1년에 4차례씩 분기별로 지역 유통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분석을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지자체마다 수산물 방사능 검사에 열을 올리는 까닭은 수산물 소비 감소가 어획고 감소부터 시작해 폐업 등 지역 수산업계 전반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반면, 국제관계 등으로 얽힌 상황에서 일선 지자체가 오염수 방류에 취할 수 있는 태도가 뚜렷하게 없다는 사실도 한몫을 한다.
이에 따라 동해안 지자체들은 정부 및 경북도와 협력해 수산물 소비 촉진 캠페인 등을 벌여 지역 수산물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데 주력하겠다는 복안이다.
지역 어업계에서는 수산물 소비에 직접적인 직격타가 발생할 경우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어선감척에 대해 정부가 특별법을 제정해 감척 사업에 적극 나서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경북지역 한 수산업계 관계자는 "이미 오염수 방류가 결정되고, 소비자들의 걱정도 뚜렷한 마당에 마냥 소비 촉진만 호소할 수 없지 않나"며 "국내 수산물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