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주택 4천채 육박...문화재·중소기업·수산업 전방위 타격
사망자 27명, 이재민 3천명 넘어…경북도 "신속 조사 후 대책 마련"
경북 북동부 지역을 강타한 산불 피해 조사가 본격화되면서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2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기준 주택 피해는 전소 3천914채, 반소 30채, 부분 소실 42채 등 모두 3천986채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보다 220채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영덕이 1천519채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안동 1천230채, 청송 770채, 의성 357채, 영양 110채로 뒤를 이었다. 이로 인해 대피소 등에 머물며 이재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주민만 3천275명에 이르는 것을 파악됐다.
농축산 분야 피해는 여의도 면적의 약 13배에 이르는 총 3천785㏊가 피해를 입었으며, 이 가운데 대부분인 3천645㏊가 과수농가에서 발생했다. 의성은 1천907㏊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고, 안동(1천97㏊), 청송(582㏊), 영덕(124㏊), 영양(75㏊) 순으로 피해가 컸다.
농업시설은 시설하우스 423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7곳, 축사 217채 등이 불에 탔다. 농기계 6천230대, 한우 254마리, 돼지 약 2만5천 마리, 닭 17만3천800여 마리가 소실되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동해권인 영덕에서는 수산업 피해가 집중됐다. 어선 16척과 크레인 1대, 어민 가옥 78채가 불에 탔다. 또 양식장 5곳 소실 및 단전으로 양식어류 약 68만 마리가 피해를 봤다.
중소기업과소상공인 업장도 큰 타격을 입었다. 중소기업 60곳, 소상공인 업장 134곳이 피해를 입었으며, 안동 남후농공단지에서만 중소기업 20여 곳이 전소되거나 반소됐다.
문화재 피해는 사찰과 고택, 정자 등 26곳으로 늘었는데, 국가유산 보호구역에 위치한 청송 수정사 대웅전 요사채가 이날 추가 피해 사례로 확인됐다.
생활 기반시설 피해도 곳곳에서 발생했다. 무선 기지국 2천900개소가 피해를 입으면서 도내 6개 시·군 34곳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해 현재까지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하수도 펌프장 1곳도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 또 이날 오전 기준 주택 등 건물 213곳이 여전히 전력이 끊긴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산불 피해 사망자도 늘었다. 영덕에서 산불로 중상을 입고 치료를 받던 주민 1명이 전날 숨지면서 총 27명으로 집계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현재 17개 부서 5개 반이 신속피해조사반으로 구성돼 산불 피해를 조사하고 있다"며 "피해 조사가 끝나면 주거 대책 등 신속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