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비스업 설비투자, G7보다 월등히 낮아

입력 2024-04-25 13:35:50 수정 2024-04-25 15:05:45

한국의 서비스업 투자 규모.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한국의 서비스업 투자 규모.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최근 10년간 한국의 서비스업 설비투자가 전체 설비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월등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최근 서비스업 설비투자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를 통해 지난 10년(2013~2023년)간 한국의 서비스업 설비투자가 전체 설비 투자의 39.4% 수준에 그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제조업 53.6% 보다 낮은 수치다.

특히 서비스업 투자 비중이 제조업보다 월등히 높은 G7 국가의 투자 방향과 대비된다.

10년 간 전체 설비 투자 중 서비스업 설비투자 비중을 G7 국가별로 살펴보면 영국 75%, 미국 70.2%, 독일 63.3%, 프랑스 60.9%, 캐나다 58.7%, 일본 52.2%, 이탈리아 48.9%였다.

제조업 설비투자 대비 서비스업 설비투자 비율도 한국은 모든 G7 국가보다 낮은 73.5%로 나타났다.

경총은 "서비스업은 우리나라 전체 부가가치의 64%, 고용의 71%를 차지하는 산업임에도 낮은 생산성과 국제 경쟁력으로 문제가 제기돼왔다"며 "서비스업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고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다 많은 투자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서비스업 가운데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업종을 중심으로 G7 국가 대비 투자비용이 현저히 낮았다.

대규모 설비투자를 한 서비스업 업종은 항공여객, 화물운송 등 운수업으로 전체 설비투자 중 10.3%를 차지했다.

이어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9.5%) ▷정보통신업(5.8%) ▷도소매·숙박음식업(3.3%) ▷사업서비스업(3.1%),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7%)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도소매·숙박음식업, 사업서비스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의 투자 비중은 G7 국가보다 낮다.

경총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의 생산성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우리 서비스업 설비투자가 부진한 것은 경쟁국에 비해 내수시장이 협소하고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가 강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유인하기 어려운 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미래 성장 가능성도 높은 서비스산업에 대한 투자 촉진과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규제 완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