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총재 "아시아 환율 동반 약세…중동 확전 안 하면 환율 안정세 전환"

입력 2024-04-20 18:45:16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현지시간) 특파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현지시간) 특파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는 가운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9일(현지시간) 확전으로 발전하지 않는다면 안정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춘계총회 참석 등 방미 일정을 소화 중인 이 총재는 이날 "여러 불확실성이 한꺼번에 터진 상황"이라며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과 미국 금리 인하가 생각보다 지연된다는 자료가 나오기 시작하며 우리뿐 아니라 아시아 환율이 동반 약세"라고 운을 뗐다.

이어 "우리가 일본과 같이 현재 상황에서 원화 절하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서 이런 의견을 공유하며 환율이 안정세에 들어가기 시작했다"며 "정부 개입 이후 안정된 환율이 이스라엘이 이란에 반격하며 흔들렸는데, 확전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이 들리며 다시 안정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많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우리처럼 석유 소비가 많은 나라는 중동 향방에 따라 상황이 불확실하다"며 "확전이 안 된다면 유가가 더 올라가지 않고 호르무즈 해협 봉쇄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제 생각으로는 환율도 다시 안정 쪽으로 갈 것 같다"고 내다봤다.

미국보다 한국이 먼저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 대해선 이 총재는 "금통위에서 가장 관심을 두는 것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라며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평균 2.3%까지 내려가느냐에 확신을 못 하는 상황인데, 이를 우선적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또, 야당의 추경 요구에 대해선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53% 수준"이라며 "다른 나라보다 훨씬 재정 여력이 있으니, 경제가 어려우면 이 재정을 활용하자는 견해엔 2가지 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지금 당장은 국가부채 비율이 53%이지만, 우리가 현재의 복지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고령화로 인해 정부가 지출해야 하는 국가부채를 생각해 보면 10년 내 70%, 90%로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숫자만 보고 재정의 건전 상태를 파악해 '여유가 있다'라고 하는 것은 굉장히 근시안적인 시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재정을 쓰더라도 일반적으로 쓰기보단 아껴서 진짜 어려운 계층에다 쓰는 그런 우선순위를 잘 가려 써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