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인 인도에 공식 진출했으나 고율 관세의 영향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힌두스탄타임스 등에 따르면 전날 테슬라는 인도 뭄바이에 마련된 테슬라 전시장을 공개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모델Y 주문을 받기 시작했다. 가격은 모델Y 후륜구동(RWD)은 약 600만 루피(약 9천700만원), 모델Y 롱레인지 후륜구동은 680만 루피(약 1억1천만원)에 책정됐다.
이는 테슬라 생산 공장이 있는 나라에서 판매되는 가격과 비교해 비싼 편이다.
모델Y는 테슬라의 대표 제품으로 미국 내 판매가격은 4만4천990달러(약 6천200만원), 중국에서는 26만3천500위안(약 5천100만원), 독일에서는 4만5천970유로(약 7천400만원)부터 시작된다.
가격이 높게 책정된 것은 인도의 관세 때문이다. 현재 미국에서 인도로 전기차를 수출하면 70%의 관세가 붙는다.
인도의 자동차 시장 규모가 워낙 큰데 관세가 높다 보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인도에 생산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해 4월에는 머스크가 직접 인도를 찾아 나렌드라 모디 총리를 만나 현지 전기차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당시 머스크는 인도 방문을 며칠 앞두고 이를 전격 취소했다.
이후 2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고 인도와 미국이 무역 협상에 들어가면서 테슬라도 인도에 생산 공장을 짓기보다는 인도 시장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전략을 바꿨다. 무역 협상을 통해 인도의 수입 전기차 관세율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이자벨 팬 테슬라 에디터는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충전 인프라를 포함한 필수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