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尹 의료 개혁 대국민 담화 "국민 불편 해소 못해 송구…1만5천명 의사 더 확충해야" [영상]

입력 2024-04-01 11:11:04 수정 2024-04-02 06:31:34

장기간 진료 거부 전공의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
대한의협엔 "대통령 위협 아닌 국민 위협하는 행동"

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의과대학 증원을 비롯한 의료 개혁과 관련한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텔레비전을 통해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의과대학 증원을 비롯한 의료 개혁과 관련한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텔레비전을 통해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의료 개혁 완수 의지를 재차 밝혔다.

윤 대통령은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 발표를 통해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개혁은 국민 여러분을 위한 것"이라며 의료 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아이가 아프면 새벽부터 병원 앞에 줄을 서야 한다. 이런 상황을 뻔히 아는 정부가 어떻게 손을 놓고 있겠냐"라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강화해 전국 어디서나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 이를 위해선 의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사 증원을 의사들의 허락없이 할 수 없다고 한다면 국민의 목숨의 가치가 그것밖에 안되는 것인지 반문할 수밖에 없다"라며 "2천명이라는 숫자는 꼼꼼하게 계산해 산출한 최소한의 증원 규모"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2035년까지 최소 1만5천명의 의사를 더 확충해야한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20년 뒤에는 국민소득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의료수요는 더 늘어난다. 의료산업 발전에 따라 바이오, 신약, 의료 기기 등 의사들을 필요로 하는 시장도 엄청나게 커질 것"이라며 "공정한 의료 서비스 접근권을 보장하는 데만 당장 5천명의 의사가 더 필요하다. 2035년까지 최소 1만 5천여명의 의사를 확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의대증원에 반발해 장기간 진료를 거부 중인 전공의들에게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 누구도 특권을 갖고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고 그것이 국민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제대로 된 논리와 근거 없이 힘으로 부딪혀서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려는 시도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라며 "불법 집단행동을 즉각 중단하고 합리적 제안과 근거를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독점적 권한을 무기로 의무는 팽개친 채 국민 생명을 인질로 잡고 불법 집단행동을 벌인다면, 국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의사협회를 향해 "총선에 개입하겠다며 정부를 위협하고, 정권 퇴진을 운운하고 있다. 이러한 행태는 대통령인 저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제가 정치적 득실을 따질 줄 몰라서 개혁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누군가 국민과 국익만을 바라보며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개혁에 뛰어들지 않는다면, 이 나라에 미래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