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부지 방사성물질 검출, 외부 유출 확인 안돼"

입력 2021-09-10 18:26:12 수정 2021-09-10 21:30:15

원안위 1차 조사결과 발표
주변 물 시료서 삼중수소도 나와…'설계와 다른 차수막' 원인 지목

경북 경주 양남면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경주 양남면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매일신문 DB

월성원전 부지 내에서 삼중수소를 비롯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방사성물질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고, 향후 추가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10일 월성원전 삼중수소 민간조사단과 현안소통협의회가 벌인 삼중수소 제1차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월성원전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저장조(SFB) 주변 토양과 물 시료(심도 9m)에서 방사선핵종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지난 2019년 월성3호기 터빈갤러리 맨홀 내 고인 물에서 최대 71만3천 Bq/L의 삼중수소가 검출되는 등 월성원전 부지 내 고농도 삼중수소 검출에 대한 주민 불안이 커지자 조사단과 협의회를 구성하고 지난 3월 말부터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그 결과 토양 시료에서는 감마핵종 세슘-137이 최대 0.37Bq/g 검출됐고, 물 시료에서는 삼중수소가 최대 75.6만Bq/L(최소 1,640 Bq/L), 세슘-137은 최대 0.14Bq/g이 나왔다.

조사단은 "SFB 저장조 벽체와 차수 구조물의 상황을 종합하면, 1997년 월성1호기 SFB 저장조 차수막이 기존 설계와 다르게 시공돼 차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안 쪽의 기존 사업자 지하수 관측공(심도 약 20m)에서는 유의미한 삼중수소나 감마핵종 농도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단은 "지금으로서는 방사성물질의 외부환경 유출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며 "향후 기존 및 신규 관측공의 수위 측정, 방사성물질 분석 등 정밀조사를 통해 외부 유출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