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문예진흥원에 위탁 갱신 웬 말" 대구시의회서 질타 쏟아져

입력 2025-09-05 17:14:06 수정 2025-09-05 17:48:03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5일 오전 안건 심사 진행
대구문예진흥원 사태 관련 지적 이어져… "혁신 방안 마련 우선"
문예진흥원 위탁 운영 기간 연장 동의안은 통과… "기간 만료 촉박"

5일 오전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문화복지위원회 안건 심사 중 하병문 시의원(북구4)이 최근 매일신문에서 연속 보도한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사태와 관련해 대구시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윤정훈 기자
5일 오전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문화복지위원회 안건 심사 중 하병문 시의원(북구4)이 최근 매일신문에서 연속 보도한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사태와 관련해 대구시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윤정훈 기자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문복위) 안건 심사 도중 최근 매일신문이 연속 보도한 대구문화예술진흥원(문예진흥원) 사태에 대한 문복위 소속 시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문복위는 제319회 임시회 기간인 5일 상임위 회의를 열고, 소관 부서 조례안 3건과 대구시가 제출한 동의안 2건 등 총 5건의 안건을 심사했다.

이 가운데 하나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은 다음 달 6일 대구시 위탁 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는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콘서트하우스 ▷대구미술관 ▷대구예술발전소 ▷수창청춘맨숀 ▷대구근대역사관 ▷대구방짜유기박물관 ▷대구향토역사관의 위탁 기간을 갱신해 문예진흥원이 운영을 이어가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대구시 측은 민간 위탁보다 전문성과 인력을 갖춘 문예진흥원이 위탁 운영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고 평가했으나, 이날 문복위 소속 시의원 대부분은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하중환 시의원(달성군1)은 "방만 운영 등으로 신뢰를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예진흥원에 추가로 대규모 공공 사무를 위탁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가"라고 반문하며 "지금은 전문성에 대한 부분보다 투명성 확보를 위한 혁신 방안 마련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별 감사와 조직 용역 결과를 우선 기다리겠다는 대구시의 태도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정일균 시의원(수성구1)은 "감사와 용역만으론 어떻게 카르텔이 형성돼 있고, 어떻게 인사 전횡이 벌어졌는지 등 그 조직의 내부적인 문제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각 직원을 대상으로 익명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등 보다 내재적인 문제를 잡아낼 방안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장 논란이 됐던 과도한 시간외 근무 수당과 관련된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김주범 시의원(달서구6)은 "시 산하기관 직원 평균 연봉 현황을 보니 대구오페라하우스와 대구콘서트하우스가 각각 3천700만원, 대구문화예술회관이 3천600만원 정도인데, 문예진흥원에선 한 사람이 시간외 수당으로만 최대 2천500만원을 챙긴 사실이 드러났다"며 "이러한 문제가 꾸준히 지적됐음에도 이 시간외 수당을 환수 조치할 것인지 벌칙을 줄 건지 시에선 아직 그 어떤 말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안건 심사에 참석한 이재성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현재 우리 시에서 감사위원회를 꾸려 문예진흥원 운영 전반에 대한 감사를 진행 중에 있고, 이 감사 결과에 따라 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외부 전문가들도 포함해 공론화 과정을 거쳐 보다 객관적인 혁신안을 마련하겠다는 차원"이라며 "또 감사 결과에 따라 시간외 수당 인정 기준을 마련한 뒤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한편, 많은 우려가 뒤따랐음에도 해당 동의안이 이날 문복위 안건 심사를 통과해 향후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문복위 소속 위원은 "해당 기관들의 위탁 기간 만료가 당장에 내달 6일인데, 다음 회기는 같은 달 17일부터 시작돼 지금 우리가 통과시켜주지 않으면 기관들의 모든 일정과 사업들이 중단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며 "대구시 측에 문예진흥원에 대한 감시와 관리를 꼼꼼히 할 것을 거듭 주문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