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하자 국민의힘이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병역 기록 공개 거부' 논란을 수면 위로 다시 올리고 나섰다.
23일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병적기록표 하나도 못 내는 국방부 장관 후보자라니 대한민국 국군에 대한 심각한 모욕"이라며 "병적기록표를 내놓고 떳떳하게 장관이 되든지 아니면 당장 사퇴하라"고 했다.
박 대변인은 "여권에서는 안 후보자를 '문민 장관'으로 포장하고 있지만 그는 방위병 출신으로 제대로 된 군 경험도 없다. 그마저도 통상 14개월인 방위 복무를 22개월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복무기간 가산 사유는 탈영과 영창, 군 형법 위반 세 가지뿐"이라고 했다.
병무청에 따르면 안 후보는 1983년 11월부터 1985년 8월까지 약 22개월 동안 육군 제35보병사단 방위병으로 복무한 뒤 일병 전역했다. 안 후보가 방위병으로 입대하던 시기는 복무기간이 14개월이었다. 방위병이란 '공익근무요원'과 같은 대체복무병을 뜻한다.
15일 인사청문회 과정에선 안 후보자의 과거 군 복무 시절 제대 시점이 8개월이나 늦춰진 게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안 후보자는 "행정 착오"라고 반박했다. 실제로는 1985년 1월 소집 해제 뒤 3월 대학에 복학했고 같은 해 6월 "방위병 복무를 더 해야 한다"는 군의 통보를 받아 방학 기간인 8월 잔여 복무기간을 채웠다는 게 그의 주장이었다.
안 후보자에 따르면 당시 중대장은 안 후보자에게 예비군 교육을 담당하는 현역병 10여 명에게 점심 제공을 요청했다. 이에 안 후보자 모친 등이 2~3주 동안 이들에게 점심을 제공했다. 안 후보자는 "나중에 투서 때문인지 국군기무사령부와 헌병대가 서너 차례 불러서 왜 점심을 제공했는지 조사했다"는 취지로 답했다.
쉽게 말해 군의 추후 통보에 따라 전역 반 년 뒤인 1985년 8월 '서너 차례 조사 받은 기간'만큼만 잠시 추가 복무를 했는데 마치 전역이 8개월 늦어진 것처럼 병적기록표에 '오표기'가 됐다는 것이다. 당시 규정상 군 기관의 조사를 받은 날은 복무기간에서 제외해야 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병적기록표 제출을 요구했다. 하지만 안 후보자는 병적기록표를 공개하지 않았다. 개인정보 탓을 하며 끝내 제출을 거부했다. 병적기록표에는 복무기간 및 징계, 진급, 강등 등 상세한 복무기록이 적혀 있다.
박 대변인은 "안 후보자는 해당 의혹에 대해 행정 착오라고 해명하면서도 이를 입증할 병적기록표 제출은 '사실과 달라 공개할 수 없다'며 거부하고 있다"며 "자신이 행정 착오의 피해자라고 주장하면서 무고함을 단번에 입증할 병적기록표 제출은 거부하는 건 지나가던 소가 웃을 촌극이자 국민 앞에 병역 의혹을 검증할 최소한의 책임마저 회피하는 해괴한 논리"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대학학적부 문제도 제기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대학학적부에는 안 후보자가 14개월 복무한 것으로 명시돼 있다. 대학교를 속인 것이다. 본인 말대로 '제대증'을 제출했다면 위조된 서류일 것"이라며 "학교도 속였고 국민도 속인 것이다. 장관 자격이 없음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기초수급자 낙인?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43만원' 금액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