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춘추-조유진] 잘 팔리는 작품이 좋은 작품일까

입력 2025-05-27 10:44:16 수정 2025-05-27 18:16:47

신세계갤러리 대구점 큐레이터

해외의 소더비나 크리스티, 그리고 국내의 서울옥션, K옥션 등, 국내·외를 막론하고 경매에서 최고가를 경신한 작품들은 언제나 대중의 주목을 받는다. '완판 작가'라는 수식어가 붙은 아티스트의 작품에는 자연스럽게 더 많은 관심이 쏠린다. 우리는 종종 높은 가격에 거래된 작품들을 그 자체로 '좋은 예술'이라 여기며, 상업적 성공을 곧 예술적 가치의 증거로 받아들이곤 한다.

상업성이 뛰어난 작품은 분명한 매력을 지닌다. 잘 팔리는 작품은 시대의 취향을 반영하며, 작가와 갤러리, 컬렉터 사이의 긴밀한 네트워크 속에서 가치를 키워간다. 그리고 미술시장의 트렌드를 선도한다. 이 과정에서 특정 미술 양식이 유행처럼 번지고, 갤러리 전시, 아트페어, 경매 등의 상업적 구조 안에서 비슷비슷하게 닮은 '팔릴 만한 작품'들이 반복적으로 생산된다. 비슷한 스타일, 익숙한 형식, 검증된 소재처럼 시장이 선호하는 안정적인 공식을 따르면 거래는 쉬워진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예술이 질문해야 할 불편한 진실들, 낯선 시도는 점점 사라져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잘 팔리는 작품이 곧 좋은 작품일까? 시장에서의 성공은 작품의 상업적 가치를 입증해준다. 수요가 있다는 것은 공감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고, 이는 어떤 면에서는 관람객과 연결된다는 예술의 본질에 부합한다. 그러나 상업적 성공이 예술의 깊이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상업적 성공이 예술성과 반드시 충돌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시장의 논리에만 순응하는 작품은 결국 표현의 본질에서 멀어질 수 있다. 고흐나 모딜리아니처럼 살아생전 빛을 보지 못했던 수많은 비운의 미술가들이 시간이 흐른 후 '위대한 예술가'로 재조명되는 사례들은 즉각적인 상업적 반응보다 깊은 울림과 지속 가능한 의미들이 예술성의 근본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한 작품이 시대정신을 담아내고, 기존의 시각을 뒤흔들며, 감정적 교감을 불러일으킬 때 우리는 그것을 '예술적'이라 부른다. 즉각적인 인기가 아닌, 시간을 견뎌내는 힘과 지속되는 가치들이 진정한 예술을 가려내는 경우다.

좋은 작품을 규정하는 기준과 가치는 시대, 사회, 개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예술의 본질과 역할에 비추어 봤을 때 그 진정한 가치는, 결국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이 작품 앞에서 어떤 감정과 사유를 경험하는 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우리가 예술을 바라볼 때, 가격표 뒤에 가려진 작가의 질문과 태도, 그리고 작품이 건네는 침묵의 울림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면, 단지 '비싸게 팔렸기 때문이 아니라' 진정으로 '좋은 예술'이 무엇인지 더 깊이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