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기술로 '저메탄 한우' 길 열린다…온실가스 18% 줄이는 사료 소재 개발

입력 2025-05-14 15:03:44

농진청, 국내 최초 저메탄 사료 첨가제 개발
341만 마리 적용 시 온실가스 85만t 감축 기대

농촌진흥청 임기순 국립축산과학원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우의 장내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18% 이상 줄일 수 있는 사료 소재인
농촌진흥청 임기순 국립축산과학원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우의 장내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18% 이상 줄일 수 있는 사료 소재인 '티아민 이인산'을 국내 기술로 개발, 축산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수 있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농촌진흥청이 한우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줄일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사료 소재 '티아민 이인산'을 개발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수십 배 강력한 온실가스로,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 대응 과제로 꼽혀왔다.

농진청은 14일 "한우의 장내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평균 18.3% 줄일 수 있는 사료 첨가제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물질은 비타민 B1의 활성형으로, 반추가축의 위 속 메탄 생성 관련 조효소와 결합해 메탄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연구진은 지난 4년간 200여 종의 식물소재, 해조류, 화합물 등을 분석하고 반추 미생물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컴퓨터 모의실험을 거쳐 티아민 이인산을 최종 선발했다. 이후 사료에 티아민 이인산을 첨가한 결과 메탄 배출량은 평균 18.3% 줄었으며 사료 섭취량과 성장률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돼 생산성 저하 없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됐다.

농진청은 기술을 특허 출원했으며, 기술이전을 희망하는 기업과 협의를 통해 상용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이를 전국 사육 중인 341만 마리 한우에 적용하면 연간 약 85만8천톤(t)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정부가 설정한 축산분야 탄소 감축 목표량 330만t의 26%에 해당하는 수치다.

임기순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장은 "융복합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저메탄 사료 소재 기술은 축산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축산분야가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탄소 저감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