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 관세 25%→50% 인상 여파 현실화
단가 조정도 한계, 파생상품 확대도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인상으로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수입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품목관세를 25%에서 50%로 올린 데 이어, 최근 50% 관세 대상을 파생상품 407종으로 확대하면서 철강 업계는 물론 수출 업계 전반으로 관세 타격이 확산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8천3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8천255만달러)보다 25.9% 감소했다. 감소 폭은 2023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대치다. 수출액 기준으로 보면 2021년 3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바 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올해 들어 ▷1월 21만8천t ▷2월 24만3천t ▷3월 24만9천t ▷4월 24만8천t ▷5월 25만2천t ▷6월 24만5천t 등으로 관세 부과 이후에도 뚜렷한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월에 19만4천t으로 눈에 띄게 감소하며 1년 6개월 만에 처음 20만t 아래로 떨어졌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철강 관세를 25% 부과한 데 이어 50%로 인상한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철강 업계는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도 미국 철강 업계가 국내 가격을 인상하면서 큰 타격을 받지는 않았는데, 관세가 50%로 인상된 뒤에는 부담이 커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내 철강 업계가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가를 낮춰 수출 물량을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도 유효하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 단가는 2022년 톤(t)당 1천915달러에서 2023년 1천651달러, 2024년 1천476달러로 매년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는데, 올해는 7월까지 1천396달러로 더 낮아졌다.
업계에서는 내년부터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한국산 철강이 미국 시장에서 설 자리가 더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등 관세 대응에 나섰으나 상업 생산 개시 목표 시점은 2029년이어서 향후 4∼5년은 수출·관세 대응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