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6·3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됐다. 여당의 대선 후보가 결정됐지만 아직 6·3 대선 최종 대진표(對陣表)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한덕수 무소속 후보 등 다자 구도로 대선전이 펼쳐질 경우 결과가 뻔한 만큼 '반(反)이재명' 및 '개헌 찬성' 후보들의 '빅 텐트 구성' 과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 경선 기간 중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단일화에 찬성 입장을 시종(始終) 표명해 왔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도 "민주당 이재명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떤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할 것"이라며 "국민과 우리 당원들께서 납득(納得)할 수 있는 절차와 방식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한 후보 역시 김 후보와 연대(連帶) 의지를 확인하며 진정한 법치주의 실현과 국민 통합을 위한 '개헌 연대'를 구성하자고 말했다.
김 후보는 확고한 국가관으로 보수층의 강력한 지지를 받아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선봉(先鋒)이었으며, 3선 국회의원, 2선 경기도지사, 당 대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고용노동부 장관 등 경제 및 노동, 지방 정책에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중도층과 청년층의 지지를 얻는 데 어려움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 후보 역시 풍부한 국정 경험과 국제 정세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이해가 강점이다. 그러나 대선을 치르는 데 필요한 정치 경험과 세력의 한계 또한 분명하다. 김 후보와 한 후보가 원팀이 되어 장점을 키우고 단점을 보완해야 할 이유가 뚜렷한 것이다.
두 후보가 단일화에 성공하면, 야권과 대결 구도가 명확해지고, 선거 전략 역시 '개헌 세력 VS 반개헌 세력', 즉 '미래 VS 과거'로 선명하게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치열한 당내 경선을 뚫고 여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 후보가 무소속 한 후보와 단일화하는 데는 난관(難關)이 많을 수밖에 없다. 김 후보 개인의 신념을 떠나 당내 계파와 지지자들의 입장과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여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 인사와 재정, 정책 등 당 지휘권을 행사하게 된다. 한 후보와 단일화에 본격 착수하자면 김 후보 본인은 물론이고 김 후보를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만들기 위해 헌신했던 많은 당원들과 실무자들이 기득권(旣得權)을 내려놓아야 한다. 쉽지 않을 것이다. 극심한 분열과 혼란으로 끝내 단일화가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정도 촉박하다. 국민의힘은 선거 공보물 발주, 후보 기호나 사진 등이 들어가는 유세 차량 계약 등 본격 대선 준비를 위해서는 7일 전에, 늦어도 대선 후보 등록일(10~11일) 전에 단일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 짧은 시간에 치열한 경쟁 없이 밋밋한 단일화를 이룬다면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할 것이고, 감동도 만들어내지 못한다. 화기애애해서 감동을 주지 못해도 문제, 너무 치열하게 싸워서 앙금이 쌓이고 지지층이 이탈해도 문제인 것이다.
두 후보가 정책과 철학의 차이점보다는 공통점, 단일화에 따른 손실보다는 시너지 효과(synergy 效果), 개인과 계파의 이익보다는 국가와 국민 전체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면서 신속하고도 감동적인 단일화 방안을 도출하기 바란다. 후보 단일화에 대한민국 미래가 걸려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