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10% 보편 관세 부과 방침에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은 가운데 양국의 협상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의 추가 10% 보편 관세가 미 동부시간으로 지난 4일 0시부터 발효됐고, 이에 중국은 베이징 시간 10일 0시(미 동부시간 9일 오전 11시)부터 맞대응 조처를 시행했다.
중국의 보복이 현실화하면서 트럼프 1기 행정부에 이어 2기 행정부에서도 글로벌 양대 경제 대국 간 무역 전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이지만 백안관은 즉각 대응에 나서지 않는 모습이다. 우선 중국 측의 보복 조처가 충분히 예견된 것이고, 미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가 발효된 지난 4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한 취재진과의 문답에서 중국의 보복 조처에 대해 "괜찮다"(that's fine)라고 밝힌 것도 기존 미중 교역 구조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중의 관세 전쟁은 향후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담판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세 부과 전날인 지난 3일 시 주석과 "24시간 이내"에 통화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이웃 국가인 캐나다·멕시코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지난 3일 두 나라 정상과의 통화에서 관세 부과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한 것처럼 중국에 대해서도 관세 문제를 극적인 방식으로 해결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실상 '항복 선언'을 하며 관세 전쟁 보류를 택한 캐나다·멕시코와 달리 중국이 호락호락하게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 부응할 것인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미중 글로벌 패권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해진 가운데 중국으로선 이번에 트럼프 행정부 초기부터 굴복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앞으로 미국의 압박에 계속 끌려다닐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최근 '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중 갈등은 단순한 '전략경쟁'의 수준을 넘어 사실상 '패권경쟁'의 수준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국제정치와 경제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한국은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뒤흔든 '尹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대한민국을 지키자"[종합]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항공사진 AI 분석, 동대구역에 15만 인파…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한 목소리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