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만든 중국, R&D 투자 11배 늘릴 때 한국은 2배 그쳐

입력 2025-02-05 18:30:00 수정 2025-02-05 18:35:09

지난 10년간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큰 폭으로 늘면서 세계 R&D 투자의 축이 미국과 중국으로 쏠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유럽연합(EU) 공동연구센터가 '2024년 R&D 투자 스코어보드'의 2천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R&D 투자 상위 2천대 기업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 기준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기업 수와 투자액을 확보했다.

2천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 기업 수는 2013년 119개에서 2023년 524개로 10년간 405개 늘었고, 투자액은 118억유로에서 2천158억유로로 11.5배 증가했다.

특히 상위 10개국 중 10년간 기업 수와 투자액이 계속 증가한 국가는 중국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의 1위인 미국의 경우 기업 수는 668개에서 681개로 10년간 13개 늘었다. 투자액 기준으로는 2013년 1천910억유로로 전체의 36.1%였으나, 2023년에는 5천319억유로로 2.8배 증가하며 전체의 42.3%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상위 2천대 기업에 포함된 미국과 중국의 기업 수는 전체의 60.3%를 차지했고, R&D 투자액의 합도 전체의 59.5%에 달했다.

2013년 중국에 앞섰던 일본, 독일, 영국 등은 중국의 급성장에 따라 순위가 밀려났다.

한국의 경우 기업 수는 54개에서 40개로 줄었지만, 투자액은 2.2배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을 나타내는 R&D 집중도 역시 미국과 중국의 증가세가 컸다. 미국은 2013년 5.1%에서 2023년 8.5%로 3.4%포인트 늘었으며, 중국도 1.4%에서 3.9%로 2.5%포인트 증가했다.

한국의 R&D 집중도는 2.4%에서 4.0%로 1.6%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박기순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중국은 미중간 기술 패권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기초기술 R&D 강화와 대규모 투자 자금 및 R&D 지원, 세제 지원, 인공지능(AI) 육성을 위한 규제 완화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중국 딥시크(DeepSeek)의 등장에서 보듯 산업별 선도 기술을 둘러싼 기업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이라며 "세제 지원을 통해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반도체특별법 같은 지원을 통해 제도적인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