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스타링크, 韓 '착륙' 초읽기…올해 2분기 초 전망

입력 2025-01-14 11:21:50 수정 2025-01-14 20:34:51

국경 간 협정 승인 절차…정부 3월 착수 예상

2022년 1월 1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 39A 발사대에서 우주 인터넷망 구축용 스타링크 위성 49기를 탑재한 미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포물선의 궤적을 그리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은 케네디 우주센터 인근 비에라에서 바라본 로켓의 모습.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위성 1만2천 기로 지구 오지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위성 인터넷망 구축을 추진해 왔으며,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서비스를 시작해 가입자가 14만5천여 명에 달한다. 플로리다 투데이 제공
2022년 1월 1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 39A 발사대에서 우주 인터넷망 구축용 스타링크 위성 49기를 탑재한 미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포물선의 궤적을 그리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은 케네디 우주센터 인근 비에라에서 바라본 로켓의 모습.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위성 1만2천 기로 지구 오지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위성 인터넷망 구축을 추진해 왔으며,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서비스를 시작해 가입자가 14만5천여 명에 달한다. 플로리다 투데이 제공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상반기 내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정부가 외국 통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국경 간 공급협정 승인을 위한 작업을 시작한 것.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이번 주 중으로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파수 이용 조건이란 스페이스X와 같은 저궤도 통신위성 사업자가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 주파수 혼신 등 예상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할 의무 등을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당국은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하면 다음 달 스페이스X로부터 의견을 들은 뒤 이용 조건을 확정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가 스페이스X에 요구할 주파수 이용 조건에는 국내 위성 보호, 타 사업자와 주파수 공유 협조 의무, 지표면 전파 보호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과기정통부는 스타링크코리아와 미국 스페이스X 본사가 맺은 국경 간 공급 협정에 대해 승인 절차에 들어가는데, 3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스타링크 위성통신의 국내 서비스 시작은 오는 2분기 초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스페이스X 측은 국내 서비스를 언제부터 시작할지에 대한 확정적 계획을 알리지 않은 상태다.

법에 따라 외국 사업자가 국내에 기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국내 기간통신사업자와 국경 간 공급 협정을 맺고, 당국으로부터 이를 승인받아야 한다. 스타링크는 이를 위해 설립한 국내 법인 스타링크코리아와 국경 간 공급 협정을 맺었다. 역시 국내 진출을 추진 중인 영국의 원웹은 한화시스템과 협정을 맺었다. 스타링크 단말기에 대한 당국의 기술기준 행정 예고는 오는 15일까지다.

애초 스타링크 위성 통신 서비스가 올해 초 국내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스페이스X가 기술기준 내용의 변경을 요구하면서 행정 예고 종료 시일이 연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원웹 단말기에 대한 기술기준 행정 예고는 3월 4일까지로 예정됐다.

스타링크 서비스를 국내에서 쓸 수 있다고 해도 당장 개인 이용자의 통신 서비스 사용 패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말기 구입에 최소 20만원(149달러)가량이 들고 월간 이용 요금도 약 14만원(99달러)으로 휴대전화 통신보다 비싼 데 반해 전송 속도는 낮은 한계를 지녀서다.

당장 큰 변화를 맞을 곳은 인터넷 연결이 쉽지 않은 선박과 항공기 내부에서의 통신 환경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유나이트항공, 에어프랑스, 하와이안항공, 델타항공 등 외국 항공사는 스타링크를 이용해 항공기 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준비 중이다. 그런 만큼 스타링크 위성통신 서비스를 해운사나 항공사에 재판매하는 역할을 맡게 될 국내 통신업계에서는 저가 항공사(LCC)를 주력 판매 대상으로 설정하고 마케팅 등 준비에 돌입했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대한항공 등 대형 항공사가 기내 통신 서비스를 이미 시작해 비 대한항공 계열 저가 항공사를 스타링크 서비스의 주요 재판매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