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전기차 비야디(BYD)의 한국 진출이 일본 진출 만큼 순조롭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BYD가 한국과 상황이 비슷한 일본 시장에 재작년 진출한 뒤 각종 프로모션을 추진했지만,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렌터카와 법인차 등 틈새시장을 공략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3일 'BYD 일본 시장 현황과 국내 업계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BYD의 일본 실적 부진 사례를 고려할 때 국내 시장에서도 초기에는 제한적인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KAMA는 BYD가 재작년 7월 일본 진출을 선언한 이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BYD는 ▷판매 네트워크 현지화 ▷유명 배우 광고 섭외 ▷자체 전기차 지원금 지급 등 다양한 판매 전략을 펼쳤지만, 일본에서의 승용차 판매량은 2년간 3천188대에 그쳤다.
올해는 3분기 누적 1천742대로 작년보다 96.6% 증가하긴 했지만, 판매 목표(2025년까지 연간 3만대)를 크게 밑돌았다.
이를 두고 KAMA는 BYD가 한국 시장에서도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완성차 강국으로 평가 받는 한국과 일본은 높은 자국산 차량 점유율과 낮은 전기차 비중, 중국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이 유사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수입 전기차 비중은 각각 9%, 2%에 불과하다.
KAMA는 "최근 신차 구입 의향자 인식 조사에서 중국 브랜드 전기차를 선택지로 고려한다는 응답은 9%에 불과했다"며 "중국산 전기차를 선호하지 않는 일본 소비자들의 성향도 국내 시장에서 유사하게 관측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BYD가 렌터카와 법인차 등 틈새시장을 노리고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한다면 국내 브랜드를 위협할 수 있다고 KAMA는 분석했다.
KAMA는 지커, 리프모터 등 중국 브랜드의 국내 진출 확대 가능성을 언급하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전기차 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