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요금보다 더 나와…'구독플레이션' 허리 휘는 가계

입력 2024-11-19 18:30:00 수정 2024-11-20 07:49:40

배추가격보다 민감한 온라인 콘텐츠 구독료

아이폰 사용자가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인상 안내문을 받은 화면. 독자 제공
아이폰 사용자가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인상 안내문을 받은 화면. 독자 제공

아이폰 사용자 이모(34)씨는 최근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서비스 비용에 부담을 느껴 모두 해지했다. 그는 "지난달에 휴대전화 요금이 3만4천원 정도 나왔는데, OTT 요금이 3만6천원 나와서 부담됐다"면서 "최근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이 1만1천500원에서 1만9천500원으로 8천원이나 인상된다는 공지를 받고 한숨밖에 안 나왔다"고 했다.

OTT 플랫폼의 잇따른 구독료 인상으로 '구독플레이션'(구독+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이용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OTT 등 '온라인 콘텐츠 이용료' 물가지수는 110.33으로 전년 동월(105.21) 대비 5.12포인트(p) 상승했다. 통계청은 소비자 물가지수 조사 대상 458개 대표 품목 중 '온라인 콘텐츠 이용료' 가중치는 8이다. 이는 최근 김장철을 앞두고 정부가 물가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는 배추(1.3) 가중치의 6배 이상이다.

사용자들도 구독료 인상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대표적인 OTT 서비스인 유튜브는 지난해 12월 기준 '프리미엄 요금제' 가격을 1만450원에서 1만4천900원으로 올렸다. 유튜브 프리미엄은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멤버십 서비스다. 광고가 없고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 재생,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디즈니플러스도 지난해 11월 단일요금제(9천900원)에서 스탠더드(9천900원), 프리미엄(1만3천900원)으로 요금을 양분화해 사실상 40.4%에 이르는 요금 인상을 단행했다.

넷플릭스는 광고를 보는 대신 월 5천500원의 요금제를 내놨다. 다만, 가장 싼 베이직 요금제(월 9천500원)는 없앴고, 광고가 없는 가장 저렴한 요금제가 월 1만3천500원이다.

OTT 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자 부담 증가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요금 인상이나 할인 정책, 위약금 문제, 구독 해지 등에 대해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해 소비자가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