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격하는 구글·MS, 격차 벌리는 아마존 '클라우드' 시장 경쟁 치열

입력 2024-11-04 14:31:24 수정 2024-11-04 14:47:56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클라우드 점유율 1위 아마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클라우드 점유율 1위 아마존.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세계 클라우드 시장 '빅3'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3위에 머물렀던 구글이 최근 성장률이 가장 높았던 2위 MS의 성장률을 넘어서며 선두 업체들을 추격하고 있다. 성장 둔화 양상을 보였던 1위 아마존은 20%에 가까운 성장률로 후발 업체들의 추격을 따돌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

3일(현지시간) 시장조사 업체 시너지 리서치 그룹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은 아마존이 32%, MS가 23%, 구글이 12%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3분기와 비교하면 아마존 점유율은 34%에서 2%포인트(p) 하락한 반면, MS와 구글의 점유율은 각각 3%p·1%p 올랐다.

아직 구글 클라우드의 점유율은 2위 MS와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지난 3분기 성장률은 3개 업체 가운데 가장 높았다. 구글 클라우드의 성장률은 35%로 MS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의 33%, 아마존웹서비스(AWS)의 19%를 능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29%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로 지난 분기 증가율(28.8%)도 상회한 수치다. 특히 최근 매 분기 30% 안팎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난 분기에도 33% 성장률을 나타냈던 MS를 넘어섰다. 자사의 모든 제품에 인공지능(AI)을 탑재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구동하면서 수요를 끌어들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아마존 AWS의 경우 지난해에는 매 분기 성장률이 10% 초반대에 머물렀으나 올해 들어 20%에 가까운 성장세를 기록했다. 지난 1분기 17%에 이어 2, 3분기에는 각각 19%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하며 후발 업체들의 추격에서 벗어나고 있다.

3분기 성장률은 1년 전 12%보다 7%p가 더 늘었다. 특히, 3분기 AWS 영업이익률은 38%로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MS는 지난 2분기 29% 성장한 데 이어 3분기에는 33%, 4분기에도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대하며 아마존과 격차를 좁히려 하고 있다. 이탈리아, 멕시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에 각각 수조 원 달러를 투자해 데이터센터 등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최근 구글도 미국과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지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한다고 밝혔다.아마존 역시 앞서 영국과 브라질, 싱가포르 등에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빅3'간 클라우드 경쟁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