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알파시티, 신서혁신도시 낮시간대 수요 낮아 보여 고민
“'무작정 대기'보다 구체적 방안 나와야…보조금 지원도 필수”
대구시가 오는 8월부터 수성알파시티와 신서혁신도시(의료R&D지구·첨단의료복합단지)에 운행 예정인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의 낮 시간대 배차간격을 어떻게 정할 지를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낮은 수요 때문인데, '탄력적 운행'에만 방점을 찍는 것도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세 지역 출‧퇴근 시간대 고정 배차간격은 평균 10분으로 두고 DRT를 운행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다른 시간대의 배차간격에 대해서는 결정이 쉽지 않다. 이들 지역은 출‧퇴근 시간대 입주기업 직원들을 중심으로 DRT 수요가 몰리는 곳으로 낮 시간대 수요는 거의 없다시피 한 곳이기 때문이다.
시는 30분 또는 1시간 간격으로 DRT를 운행하는 방향을 생각 중이다. 탑승 수요에 맞춰 일정 범위 이내에서 수요가 있을 때만 운행하는 방향도 고려 중이다.
이런 DRT의 낮 시간대 운행방식은 '수요응답형'이라는 DRT의 본질을 살릴 수 있을 지 여부는 물론 운송사업자 모집 성공 여부와도 맞닿아 있어 관심이 쏠리는 부분이다.
시는 ▷소형(16인승 이하) 4대 ▷중형(25인승 이하) 3대 ▷대형(45인승) 4대 등 모두 11대의 DRT 차량을 세 지역에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지난 13~24일 운송사업자 모집 결과는 좋지 못했다. 대구법인택시운송사업조합과 전세버스업체 등 2곳이 참여 의사를 밝혔지만 모두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 재공고를 낸 상황이다. 불분명한 배차간격과 운송 수익 보전 여부가 모두 운송사업자 모집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대구시가 '탄력성'만 강조하기보다 어느 정도 구체적인 운행 방안을 내놔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현실적으로 어떻게 하더라도 낮 시간대 운송 수익 보전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현실적인 수준으로 운송 단가를 책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황정훈 미래도시교통연구원장은 "무작정 기사를 대기시키기보다 일정 운행시간을 정해두는 등 구체적인 운영계획이 필요하다"며 "DRT 운행 취지가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중교통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것으로, 그 자체가 수익성 있는 사업이 아니다. 기존 택시, 버스 업계 수입 수준에 맞는 현실적인 보조금 지원 역시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키워드〉
※DRT(수요응답형교통)=노선을 미리 정하지 않고, 고객 수요에 따라 운행구간, 정류장 등을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여객 운송 서비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