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소한의 견제도 없는 민주당 전대, 또 ‘이재명당’인가

입력 2024-06-25 05:00:0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연임이 굳어지고 있다. 이 대표는 24일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당 대표 선거) 출마를 하지 않을 것으로 확정했다면 사퇴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사실상 연임 도전 의사를 밝혔다. '또대명'(또 당 대표는 이재명)이란 자조 속에 이 대표 외에 당 대표 출마의 뜻을 보이는 인물은 없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장관, 윤상현 의원 등이 출마를 선언하면서 당권 경쟁이 한껏 달아오른 국민의힘과 딴판이다.

이 대표 연임론은 4월 총선 이후 본격화됐다. 친명(친이재명)계가 "192석을 이끌 강력한 리더십의 적임자는 이재명"이라며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에 불을 지폈다. 민주당은 이 대표 연임을 위한 사전 포석도 깔았다. '대선 출마 1년 전 당 대표 사퇴'에 예외를 둘 수 있도록 당헌을 고쳤다. '민주화의 적통'이라는 민주당이 오직 한 사람의 당 대표 연임과 대권 도전을 위해 룰을 바꾼 것이다.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대표직 연임 사례는 새정치국민회의 총재를 지낸 김대중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그만큼 이 대표의 연임 도전은 이례적이고, 큰 부담이 따른다. 당장 이 대표의 연임은 '사법 리스크 방탄용'이란 비판을 받는다.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으로 추가 기소된 이 대표가 4개 재판을 동시에 받게 되면서 연임의 필요성이 커졌을 것이란 점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다. 당내에선 '이재명 일극 체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최소한의 견제도 없다. 최고위원 출마자들도 대부분 친명계다.

이 대표가 연임하면 민주당의 '이재명 방탄' 기조는 강화될 수밖에 없다. 민주당은 대통령의 거부권을 유발하는 특검법 등 쟁점 법안의 강행 처리는 물론 '대통령 탄핵' 주장을 노골화할 것이다. 이렇게 거대 야당과 정부·여당이 극한 정쟁에 빠지면 경제와 민생은 나락으로 떨어진다. 대표 한 사람만을 바라보는 정당은 공당(公黨)이 아니다. '이재명 사당화'는 민주당, 나아가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이며, 이 대표의 대권 도전에도 이롭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