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PK 보수 선전…낙동강벨트 지켜냈다
국민의힘이 대통령 탄핵·개헌 저지선(101명)을 가까스로 지켜낸 데에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을 종단하는 낙동강벨트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6·25 전쟁 당시 최후의 방어선을 지켜낸 것처럼,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의 궤멸적 패배를 막은 건 '보수의 본산'인 영남 지역이었다는 설명이다.
국민의힘은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 포함해 총 108석을 얻은 가운데, 낙동강을 따라 형성된 TK(25석)와 PK(40석)에서 다수석을 내줬다면 회생을 기약할 수 없는 타격을 입을 뻔했다.
헌법을 개정하거나 대통령을 탄핵하기 위해선 국회 재적의원(300명)의 ⅔이상(200명) 찬성이, 반대로 이를 저지하기 위해선 최소 101석이 필요하다. 만약 국민의힘이 100석에 그쳤다면 조국혁신당 등이 주장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및 임기 단축 개헌이 가능할 수 있었다.
국민의힘은 TK에서 지역구 25석 전석을 석권했다. 2012년 19대 총선 이후 12년 만으로, 당시엔 박근혜 전 대통령이 비상대책위원장에 올라 선거를 진두지휘했다.
비례대표 투표에서도 TK 유권자는 국민의힘 비례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 전체 18석 확보에 일조했다. 국민의미래 지역별 득표율은 대구 60.16%, 경북 60.24%를 기록,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또 전국 평균 득표율(33.84%)과 비교해도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국민의힘이 TK에서 버티자 여야가 경합하던 PK 낙동강벨트에서도 예상 밖 선전이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낙동강벨트 10석 중 부산 사하구갑·사하구을·사상구·강서구·북구을, 경남 양산갑·양산을 등 7석을 얻었다. 반면 민주당은 부산 북구갑, 경남 김해갑·김해을 등 3석에 그쳤다. 특히 부산에서 전체 18석 중 17석을 가져왔다.
이에 국민의힘은 TK 25석과 PK 34석을 합쳐 영남에서 59석을 확보, 2020년 21대 총선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56석보다 3석을 더 늘렸다.
다만 총선 직후부터 일찌감치 제기되는 영남당 논란은 22대 국회에서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거야 전선 방어의 최고 수훈임에도 외연 확장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영남 정치권의 2선 후퇴를 압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TK와 PK가 버티지 못했다면 정부여당은 레임덕이 아니라 데드덕(dead duck) 상황에 직면했을 것"이라며 "한국전쟁에서 낙동강 방어에 성공해 반격해 성공했던 것처럼 보수진영도 전열을 정비해 정권 재창출 목표를 향해 심기일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