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정찰위성 2호기 발사 성공…대북 정찰능력 강화(종합)

입력 2024-04-08 16:19:39 수정 2024-04-08 19:38:48

美 플로리다주서 '스페이스X'에 실어 발사…오전 10시 57분 첫 교신 성공
날씨와 상관없는 주야간 전천후 감시·정찰 자산 확보

우리 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8일(한국시간) 08시 17분에 정상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8일(한국시간) 08시 17분에 정상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연합뉴스

군이 독자 개발한 고성능 영상 레이더(SAR)를 탑재한 정찰위성 2호기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목표 궤도에 진입했다. 밤낮은 물론 눈비에도 고해상도 영상으로 북한군 동향을 살필 수 있게 됐다.

8일 국방부는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한국시각 8일 오전 10시 57분쯤 해외지상국과 본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정찰위성 2호기는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에 탑재돼 이날 오전 8시 17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그리고 발사 45분 만인 9시 2분쯤 발사체로부터 분리돼 목표 궤도에 진입했다.

9시 11분에 해외지상국이 첫 교신을 시도했지만 연결되지 않다가 2차 시도에서 교신이 이뤄졌다. 이 교신에서 위성체 상태가 정상으로 확인돼 발사는 최종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간주됐다.

2호기는 앞으로 약 2주간 ▷태양전지판과 안테나 반사판 전개 ▷플랫폼 기능 확인 ▷위성체 운용모드 정상동작 확인 등을 수행한다. 국내·해외지상국과 연계한 교신도 계속 이뤄질 예정이다.

국방부는 "이번 발사 성공으로 확보되는 군 최초 SAR 위성을 통해 우리 군의 독자적인 정보감시정찰 능력이 더욱 강화됐다"며 "향후 후속 위성 발사도 차질 없이 추진해 가겠다"고 밝혔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도 국방부 청사에서 발사 장면을 실시간 중계화면으로 지켜본 뒤 "우리가 우주 강군으로서의 본격적인 걸음을 내딛게 됐다"고 평했다.

이번에 발사에 성공한 2호기는 세계 정상급 SAR 위성으로 전천후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감시·정찰 자산으로 평가된다. 수개월간의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SAR 위성은 레이더를 이용해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영상을 생성한다. 2호기는 하루에 한반도를 4~6회 방문해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2호기는 정찰위성 1호기와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1호기는 전자광학(EO)·적외선(IR) 촬영장비를 탑재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나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1호기는 지난해 12월 발사됐으며 현재 운용시험평가를 앞두고 있다. 올해 6∼7월부터 북한 내 주요 표적을 감시하는 임무에 돌입할 예정이다.

3호기는 위성체 조립을 마치고 개발시험평가에 착수한 상태다. 9월에 관련 평가가 완료되면 11월에 발사될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오는 2030년까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를 활용한 소형·초소형 정찰위성 50~60기 확보를 추진 중이다. 초소형 정찰위성까지 확보하면 군은 30분 단위로 한반도 전역을 정찰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