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잠재적 부실기업 급증…10곳 중 4곳이 이자도 못내

입력 2023-11-28 15:31:41

비수도권 비중 높고 증가율도 가팔라
대구경북 한계기업 비중 21.1%

19일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서울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19일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서울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건설업계에 잠재적 부실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건설업체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 외부감사 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분류된 건설업체는 929곳으로 전체 외부감사 기업(2천232개)의 41.6%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2018년 642개(32.3%)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잠재적 부실기업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를 의미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는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인 영업활동이 어려운 취약기업으로 분류된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은 지난해 기준 387개로 18.7% 차지했다. 한계기업은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부실기업을 뜻한다. 한계기업은 2020년 305개에서 지난해 387개로 26.9% 증가했다.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17.4%)보다 비수도권의 비중(20.3%)이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수도권(0.8%p)보다 비수도권의 증가율(2.3%p)이 더 높았다. 대구경북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1.1%로 전국 평균(18.7%)보다 높게 형성됐다.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세종(50.0%), 제주(34.4%), 경남(29.6%), 광주(28.4%), 충남(22.2%), 서울(19.6%), 부산(18.8%) 등이다.

연구원은 물가상승에 따른 금리 인상으로 인해 이자비용 부담이 급증한 것을 한계기업이 증가한 원인으로 분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건설자재 비용 상승과 수익률 악화 또한 영업이익을 감소시켰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부터 건설업계의 전반적인 부실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