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고속道 종점 논란 양서·강상면 가보니…"청계2리 주민 95% 원안 반대"

입력 2023-07-13 18:22:21 수정 2023-07-16 22:08:32

이장 "마을 위 지나 소음·분진 우려"…김여사 일가 땅 강상면에 '재추진'
설계업체 "외압 없어, 환경·교통량으로 노선 변경"
국토부 도로국장 "예타에서 노선 변경 흔한 일"

13일 양평군 강하면 운심리 일대에
13일 양평군 강하면 운심리 일대에 '서울-양평고속도로 강하IC 조속히 확정하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수현 기자

13일 서울-양평고속도로 대안 종점인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인근에서 이상화 동해종합기술공사 부사장이 노선 변경안 설명을 하고 있다. 이수현 기자
13일 서울-양평고속도로 대안 종점인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인근에서 이상화 동해종합기술공사 부사장이 노선 변경안 설명을 하고 있다. 이수현 기자

"원안대로 양서면이 종점이 되면 참고 살라는 말밖에 안 됩니다."

13일 오전 10시 30분쯤 경기 양평군 양서면 증동리 대아교회. 이곳에서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과 관련 기자들에게 설명에 나선 박구연 청계2리 이장은 "770가구나 되는 동네를 죽이면서까지 발전을 해야 하느냐? 우리 동네는 악조건이니 오지 말라"고 성토했다.

그는 양서면이 종점이 될 경우 고속도로 분기점(JTC)이 마을 위를 지나 주민들이 소음·분진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원안을 찬성하는 주민은 전체의 5%밖에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전날 김동연 경기지사가 원안에 IC을 추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현장을 봐야 한다"고 반발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공세로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이 전면 백지화되면서 후폭풍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 사업 중단과 노선 변경안 요구로 주민들의 반발이 가중되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와 설계업체는 정치적 개입은 일절 없었다고 거듭 해명했다.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부 비교노선. 위쪽 검은 색 노선이 예타안 종점(원안 종점), 아래쪽 붉은 색 노선이 대안 종점.안. 국토교통부 제공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부 비교노선. 위쪽 검은 색 노선이 예타안 종점(원안 종점), 아래쪽 붉은 색 노선이 대안 종점.안. 국토교통부 제공

13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원안 종점 인근인 양평군 양서면 증동리에
13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원안 종점 인근인 양평군 양서면 증동리에 '증동리 종점 원안 고속도로, 지역주민 무시한 환경훼손도로'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수현 기자

국토부는 현장 간담회를 열고 노선 변경안에 대해 재차 해명에 나섰다. 민주당은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을 기존 예타에서 제시된 양서면이 아닌 강상면으로 변경해 김건희 여사 일가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동해종합기술공사 이상화 부사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원안을 보면 분기점에서 전후 터널까지 거리가 1.2㎞밖에 안 된다. 기존 중부내륙고속 터널을 확장해야 하고 주변 경관 훼손도 심하다"며 "불합리한 측면들이 있다고 판단해 다른 안을 선정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예타 노선(원안)의 남동IC부터 양평 분기점까지 15㎞ 정도 되는데 출입시설이 없어 주변 지역에서 접근을 하기 어려워 개선이 필요했다"며 "또 상수원보호구역과 생태자연보호구역, 철새도래지 등을 관통하고 있어 환경 피해가 적은 노선을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고 했다.

강상면으로 대안 종점을 선정하는 데에도 외압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압은 없었고 환경·교통량 등 기술적 요인을 고려해 강상면 종점안을 제시했다"며 "강상면 종점안이 적합하다는 국토부 의견은 없었고 그런 의견을 받을 필요도 없었다"고 밝혔다.

이용욱 국토부 도로국장은 "(대안) 노선 결정이 된 게 아니고 사업이 진행 중으로 장관님 보고 사항이 아니다"며 "노선이 최종 결정되려면 주민 의견 수렴과 기본설계·실시설계 등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모든 보고는 제가 받았다"고 했다.

예타와 타당성 조사안에서 구간이 바뀌는 경우도 흔하다고 해명했다. 이 국장은 "양평-이천고속도로는 실시설계까지 끝났는데 노선이 기존과 완전 바뀌었고 시종점도 완전 다른 대표적인 사례"며 "최적의 노선을 구하려면 과정 과정마다 구체적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러다 보면 많이 바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