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1천명에게 하반기 거주지 주택 가격 전망 설문
45.9%가 ‘하락’ 응답…‘상승’ 응답자는 31.9%
국민 10명 중 4명은 올 하반기 집값이 지금보다 떨어진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같은 조사에서 80% 가까운 비율이 집값 하락을 예상한 것에 비하면 비중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하락 전망이 우세하다.
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천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거주 지역의 주택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45.9%가 '하락'이라고 답했다. '상승'은 31.9%, '보합'은 22.2%였다.
상승보다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높았지만, 지난해 말 올해 집값 전망을 조사했을 때 77.7%가 하락을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그 폭은 줄었다. 지난해 말 조사에서 상승은 10.2%, 보합은 12.1%였다.
응답자를 거주 지역별로 나눠 보면 지방 거주자가 하락을 전망한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47.7%), 인천(46.2%), 지방 5대 광역시(45.3%), 경기(44.3%) 순이었다.
주택 가격 하락을 전망하는 이유로 '경기침체 지속'이 32.5%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23.7%) ▷기준금리 동결 기조지만 금리가 높다는 인식(18.7%) ▷전셋값 약세로 인한 매매매물 출시(11.5%) ▷신규 입주 물량 증가(6.5%) ▷급매물 거래 후 수요심리 위축(5.2%)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한다고 전망한 이유는 저점 바닥 인식론 확산 기대가 20.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부 규제 완화(20.1%) ▷금리 인상 기조 둔화(15.4%) ▷매물 거래로 인한 실수요 유입(11.9%) ▷경기 회복 기대(11.3%) ▷전셋값 회복 조짐으로 매매 상승 기대(7.5%) 등이 뒤를 이었다.
거주지역의 주택 전세 가격에 대해서는 45.6%가 '하락'을 점쳤다. '보합'은 27.8%, '상승'은 26.6%로 나타나 매매와 마찬가지로 전세금도 하락을 전망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거주지별로는 지방 5대 광역시 거주 응답자의 54.0%가 하락을 선택했으며 뒤이어 경기(46.2%), 인천(43.1%), 지방(42.4%), 서울(42.3%) 순이었다.
전셋값 하락을 예상하는 이유로는 가장 많은 27.6%가 '전세 사기,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 확대'를 지목했다. 갭투자 관련 전세매물(역전세 등) 증가(25.7%)와 최근 몇 년간 전셋값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9.1%) 등도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이호연 직방 매니저는 "하반기 주택시장은 여느 때보다 상승, 하락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며 "매물 거래를 계획 중인 수요자라면 전체 시장 움직임보다는 해당 지역의 거래 상황과 가격 변동을 국소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