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사기 영향 기피 현상
최근 전세시장의 역전세 우려가 현실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값 하락폭이 컸던 대구의 전세 가격 하락폭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2년 전(2021년 4월)에 비해 11.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전세가격 하락세가 가장 컸던 곳은 28.5% 하락한 세종과 26.5% 하락한 대구였다. 그 뒤로 울산(-18.9%), 인천(-17.1%), 부산(-16.9%), 대전(-15.1%) 순으로 하락했다. 경북은 2021년 4월 대비 5.5% 떨어졌다.
특히 대구의 지난달 전세가격지수는 85.8인데 이는 2016년 10월(85.3)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지수가 가장 고점이었던 2021년 7월(118.2)과 비교하면 32.9포인트(p)나 떨어졌다. 게다가 지수가 5년 반 전 수준까지 떨어진지라 역전세난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는다.
경북은 지난달 전세가격지수가 117.4로 2년 전 지수(124.2)에서 소폭 내렸다. 다만 지수가 정점을 찍었던 시점이 2021년 10월(138.1)이었던 점을 생각하면 전세시장 침체가 길어질 경우 올가을에는 역전세난에 시달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대조적으로 강원과 제주는 변동률이 각각 +0.5%, +1.2%로 가격이 내려가지는 않았다. 수도권은 올해 들어 전세금 하락 추세가 비교적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일부 반등 신호도 포착됐다.
직방은 최근 전세시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로 인한 금융비용 증가, 잇단 전세사기 사건으로 전세 기피현상이 겹치면서 큰 하락세를 겪고 있고, 특히 아파트 전세시장을 장기화하는 침체와 하락세 때문에 역전세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 들어 기준금리 동결과 코픽스 금리 하락으로 서울 강북구와 송파구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의 4월 전세가격지수 잠정치에서 가격 반등의 신호가 포착되기도 했지만, 지방은 지난해에 비해 전세가 하락폭이 다소 완화되고 있으나 반등의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