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문경대 282억 지원은 누굴 위한 것인가?

입력 2022-11-23 06:30:00

문경대학 운영 책임을 지자체가 지면서 지원 하는 것은 본말 전도. 통합 없이 살아남으려면 재단 적극적인 투자 선행돼야.

고도현 경북부 기자
고도현 경북부 기자

신영국 경북 문경대학교 총장이 기숙사 건립비 34억원을 지원받기 위해 지난 9월 문경시의회에 참석, 문경대와 숭실대의 통합에 조건없는 찬성 입장을 밝혔다가 예산 승인 후 통합 반대 1인 시위를 한 것(매일신문 20일 보도)을 두고 "어떻게 이런식으로 말을 바꿀 수 있냐"며 지역사회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 신 총장의 통합 찬성 공언으로 신현국 문경시장은 운영난을 겪고 있는 문경대도 살리고 인구증가를 위해 양 대학 통합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했고 고향 발전을 염원하는 일부 출향인사도 나서면서 양 대학의 통합은 성사단계까지 도달했다. 하지만 신 총장의 갑작스런 반대로 통합이 무산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문경시 관계자는 "처음부터 신 총장이 반대한다고 했으면 충격이 크지 않았을텐데, 갑자기 뒤통수를 얻어맞았다"며 의아해했다.

신 총장의 말바꾸기는 그의 생각과 발언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신 총장은 "신 시장의 양 대학 통합 공약을 선거용으로 생각했고, 당선됐으면 추진 안해도 손해나는 일이 아닌데"라며 놀라워했다. 이어 "동업을 하던지 거래가 없으면 통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현행 사립학교법에는 사립학교 재산 거래를 원론적으로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설립자로서의 역할은 인정하지만 동업과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을 지는 따져봐야 한다.

이런 문제는 문경시 및 숭실대 측과 논의를 하면 된다. 1인 시위까지 할 일은 아닌듯 하다.

따지고 보면 지난 9월 신 총장의 통합 찬성 발언도 시 예산을 지원받기 위해 문경시와 문경시의원들을 기망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문경대는 시립대도 아닌데 지난 12년간 무려 282억원의 혈세를 문경시로부터 지원받았다. 이 많은 돈이 어떻게 사용됐는지 시민들은 알 방법은 없다.

시예산 지원을 요청할 때 신 총장의 명분은 오로지 지역발전이었다. "지역 유일의 대학이 문 닫으면 지역발전에 장애가 온다. 난 사심이 없다는 것"이 요지였다.

그러나 신 총장은 양 대학 통합으로 기대되는 인구증가와 지역발전을 외면했다. 문경대의 운영난은 재단 측의 소극적인 투자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

문경시의원 A씨는 "문경대의 책임을 지자체가 번번히 지면서 지원을 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됐다"며 "언제까지 시민혈세를 문경대 운영에 퍼줘야 하냐는 동료 의원들의 고민과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문경대가 통합없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민혈세보다는 재단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문경시는 문경대학교를 위해 할만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