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회 "유독 중국만 사고 많다…예방조치 해야"
中 "대기권 진입 과정서 타들어 갈 것"
중국의 우주발사체 '창정 5B호'의 잔해물이 4일 밤 지구로 추락할 것으로 보이면서 국제 사회가 긴장하고 있다. 이 대형 우주 쓰레기가 한반도에 떨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유독 중국의 우주사업 잔해물의 추락 사고가 반복되고 있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중국의 대형 우주발사체 창정5B호의 잔해물이 통제 불능 상태에서 이날 대기권을 뚫고 추락할 예정이어서 거대한 파편들이 지구 곳곳에 떨어질 위험이 있다고 전했다. 추락 예정시간은 한국 시간 기준 이날 오후 5시~9시, 오후 11시 전후로 다소 엇갈린다.
이 우주 쓰레기는 지난달 31일 중국이 톈허 우주정거장 구축을 위한 3단계 모듈 발사 당시 사용한 발사체 상단이다. 쓰레기의 무게는 21t에 달하며 길이는 31m, 직경은 5m로 추정된다. 발사체 잔해물은 대기권에 진입하면 마찰열에 의해 대부분 불타 없어지지만, 이번엔 규모가 워낙 커 대기권에서 전부 소각되지 못하고 남은 파편들이 지상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우주·항공 전문가들은 특히 중국의 우주사업 잔해물 추락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최근 2년간 통제 불가능한 중국의 우주 쓰레기 추락 사고가 이미 4차례 반복되며 세계 각국의 불안감을 높이고 있다고 짚었다. 이번 추락까지 합하면 5번째 사고가 된다.
실제 지난 2020년 3월(창정3B호)과 2020년 5월, 2021년 4월, 올해 7월(이상 창정5호B) 발사한 우주 발사체의 잔해물이 지구로 떨어졌다. 대부분 해상에 추락해 큰 피해가 없었지만, 2020년 5월 발사체 잔해물 파편은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 추락해 건물 등이 파손된 바 있다.
우주 쓰레기 추락 등 중국의 무책임한 관리에 대해 국제 사회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대부분 우주비행국가와 항공우주기업들은 대형 물체를 우주로 발사할 때 예상하지 못한 추락 사고에 대비하는 조치를 취하지만 중국은 이 같은 예방 조치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관리자인 빌 넬슨은 "우주 비행국가들은 지구와 인명, 재산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며 "하지만 중국의 창정5B호 등은 통제가 되지 않은 채 우주에 재진입한 데다 파편에 대한 기준도 충족하지 못한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중국 당국은 "창정5B호 잔해물은 대부분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타들어 갈 것"이라며 "이번 추락이 지구와 항공 활동에 해를 끼칠 확률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