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주 亞게임 공동유치 재시동…홍·강 시장 잇따라 의사 밝혀

입력 2022-10-20 19:10:47 수정 2022-10-20 21:16:49

홍준표 대구시장 "광주시의회 통과되면 대구시의회도 추진"
강기정 광주시장 "필요하면 홍준표 시장 만날 것"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 100일을 이틀 앞둔 6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 100일을 이틀 앞둔 6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민 의견 수렴 미비를 이유로 제동이 걸렸던 대구와 광주의 '2038년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에 다시 시동이 걸릴 전망이다.

영·호남 상생 협력을 위해 추진되던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는 두 도시 시의회가 유치동의안을 보류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이에 홍준표 대구시장과 강기정 광주시장이 잇따라 공동 유치 의지를 분명히 밝히면서 불씨를 살렸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광주시의회에서 (동의안이) 통과되면 대구시의회에서도 문제가 없도록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홍 시장은 "광주시의회에서 (유치동의안 처리가) 보류되는 바람에 대구시의회에서 보류시킨 것이지 대구시가 반대하거나 대구시의회에서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마치 대구시가 반대하는 것처럼 일부 언론이 보도한 것은 오보"라고 덧붙였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20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기정 광주시장이 20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기정 광주시장도 이날 광주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대한 이형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부시장끼리 논의하고 필요하면 홍준표 시장을 만나겠다"고 답했다.

강 시장은 또 "경제적 효과만 따지면 유치가 어려운 게 사실"이라면서도 "기회비용을 생각하면 깊은 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7일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시민 의견 수렴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공동 유치 동의안 심사를 보류했다.

광주시의회도 유치 동의안이 시의회 상임위를 통과했지만 여론조사 등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본회의 상정이 보류됐다.

예산 부담이 크다는 점도 시의회가 제동을 건 이유다. 전체 사업비는 1조 800여억 원 가운데 대구시가 2천300억원, 광주시가 2천200억원을 부담해야 한다.

대구와 광주는 당초 시의회의 동의를 얻어 이달 말까지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를 대한체육회에 제출할 계획이었다. 2038년 아시안게임 개최지는 오는 2024년 결정된다.

한편 지난해 5월 이용섭 전 광주시장과 권영진 전 대구시장은 '달빛 동맹' 차원에서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선언하고 유치준비위원회를 꾸리는 등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