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새 지도부 구성 완료…'관리형 비대위' 연내 전당대회 치를 듯

입력 2022-08-16 18:43:55 수정 2022-08-16 21:03:35

재신임된 권성동·주기환 등 尹대통령 측근 인사들 합류
당무 전반 용산 입김 커질 듯

국민의힘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오후 의원총회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할 비대위원 인선을 발표했다. 사진위왼쪽부터 권성동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엄태영 의원, 전주혜 의원. 사진아래왼쪽부터 정양석 전 의원, 주기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사법행정분과 전문위원, 최재민 강원도의회 의원, 이소희 세종시의회 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오후 의원총회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할 비대위원 인선을 발표했다. 사진위왼쪽부터 권성동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엄태영 의원, 전주혜 의원. 사진아래왼쪽부터 정양석 전 의원, 주기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사법행정분과 전문위원, 최재민 강원도의회 의원, 이소희 세종시의회 의원. 연합뉴스

새롭게 출범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혁신형'보다는 '관리형'의 위상을 가질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16일 확정된 비상대책위원들의 면면이 당의 근본적인 혁신 보다는 현상유지에 적합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당내에선 비대위 활동기간도 연내로 한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상임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새 지도부 구성을 마쳤다.

비대위 위상과 관련해 거취에 관심을 끌었던 권성동 원내대표는 상임전국위원회에 앞서 진행된 의원총회에서 재신임을 받고 비대위에 합류했다.

권 원내대표는 재신임 직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제가 미흡했던 부분이 있었음을 솔직하게 인정한다"며 "앞으로 더욱 신중하고 겸허한 자세로 원내대표직을 수행하겠다"고 자세를 낮췄다.

당내 친윤계의 핵심인 권 원내대표와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주기환 전 광주시장 후보가 비대위에서 활동하게 됨에 따라 여당의 조속한 안정을 바라는 '용산'의 의중이 당무 전반에 반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기존 원내지도부에 더해 주기환 전 후보까지 합류하면서 현직 대통령의 여당 장악력이 높아지게 됐다"며 "가급적 빨리 지도부를 새로 구성해 당을 안정화하려는 대통령실의 의중이 반영될 공산이 커졌다"고 말했다.

특히 새롭게 구성된 지도부에서 발언권을 제대로 행사할 수 있는 비대위원이 많지 않다는 점도 비대위 위상을 관리형으로 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비대위원으로 참여한 현역 국회의원이 모두 초선이고 혁신의 상징으로 안배한 청년 비대위원 역시 이번에 지방의회에 진출한 인사들이라 당의 진로에 대해 무게감 있는 발언을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따라 비대위 비공개회의에서 영향력 있는 발언을 할 수 있는 인사는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대구 수성구갑), 권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정도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여기에 정양석 전 국회의원과 주기환 전 광주시장 후보 정도가 말을 보태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내 한 중진의원은 "이번 비대위 구성은 서진(西進)과 청년층에 공을 들였던 이준석 전 대표의 공백을 매우면서 여당에 대한 대통령실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형태"라며 "당의 혁신은 혁신위원회가 맡고 비대위는 전당대회 준비에 집중하는 모양새가 나올 확률이 높다"고 전망했다.

차기 전당대회는 연내에 치러질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국정지지율 추락을 감수하면서까지 이준석 전 대표를 교체한 만큼 차기 지도부 구성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설명이다. 정기국회가 종료 이 후 해를 넘기지 않는 시점에 전당대회가 치러지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나온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비대위의 성격과 관련해 "순서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당의 안정, 신뢰 회복, 제대로 된 전당대회를 치러 후임 지도부를 뽑는 것, 이 세 가지가 (비대위의) 가장 중요한 임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