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인수한 머스크, 트럼프 계정 영구정지 철회…"바보 같은 결정 뒤집겠다"

입력 2022-05-11 07:26:27

"트위터 계정 정지, 도덕적으로 잘못"…'트위터 좌편향' 주장도
백악관 "온라인 플랫폼, 허위정보의 장 돼서는 안 돼"

억만장자이자 전기차 업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주당 54.20달러, 총 440억 달러(약 55조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인수 가격은 트위터의 이달 주가에 38%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은 것이다. 시장조사 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이번 인수는 상장 기업을 비(非)상장사로 전환하는 거래로는 최근 20년 새 이뤄진 것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사진은 트위터 로고(왼쪽)와 스마트폰에 비친 머스크의 트위터 계정. [자료사진] 연합뉴스
억만장자이자 전기차 업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주당 54.20달러, 총 440억 달러(약 55조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인수 가격은 트위터의 이달 주가에 38%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은 것이다. 시장조사 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이번 인수는 상장 기업을 비(非)상장사로 전환하는 거래로는 최근 20년 새 이뤄진 것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사진은 트위터 로고(왼쪽)와 스마트폰에 비친 머스크의 트위터 계정. [자료사진] 연합뉴스

트위터를 인수한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에 내려진 영구 사용정지 결정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10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 주최 '퓨쳐 오브 더 카' 콘퍼런스 화상 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그는 트럼프 계정 영구 정지에 대해 "도덕적으로 잘못됐고 완전히 바보 같았다"며 "해답은 내가 영구 정지 결정을 뒤집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계정 정지가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소외감을 느끼게 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목소리를 잠재우지도 못했다면서 "트럼프 계정 정지는 옳지 않은 실수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계정 정지는 모두가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포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솔직히 더 나쁜 상황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머스크는 영구정지 조치는 스팸 계정 등에 대한 징계로 국한해야 한다며 트위터 창업자인 잭 도시와 이런 생각을 공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누군가 (트위터에서) 불법적이고 세상에 파괴적인 말을 한다면 계정 일시 정지나 트윗을 안 보이게 하는 차단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머스크는 현재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트위터의 정치적 색깔을 좌편향으로 규정하면서 이는 미국과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 트위터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주장했다. 실리콘밸리의 요람인 샌프란시스코는 미국 민주당의 텃밭이자 진보 색채가 강한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앞서 트럼프 트위터 계정은 지난해 1월 6일 지지자들의 의회 난입 사태 직후 폭력 행위를 선동할 수 있다는 사유로 영구 정지됐고, 그는 계정 복원을 요청하는 소송을 진행해왔다.

백악관은 우려 섞인 입장을 내놨다.

젠 사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사기업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누구를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그 기업의 결정 사항이라고 말했다.

다만 사키 대변인은 조 바이든 행정부는 온라인 플랫폼이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면서도 허위정보의 장이 되지 않길 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