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합참의장 11명 "속전속결 靑 이전 안돼…안보 공백 우려"

입력 2022-03-20 15:46:01

권영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18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인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를 방문했다. 사진은 국방부 청사. 연합뉴스
권영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18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인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를 방문했다. 사진은 국방부 청사. 연합뉴스

합동참모의장 출신 예비역 대장들이 대통령 집무실의 국방부 이전을 속전속결로 밀어붙여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15대 합참의장 김종환(예비역 육군 대장) 등 전직 의장 11명은 지난 19일 '청와대 집무실 국방부 이전,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청와대 집무실의 국방부 청사 이전은 국방부와 합참의 연쇄 이동을 초래해 정권 이양기의 안보 공백을 야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통령 집무실은 국가지휘부이자 상징이며 국가안보 관련 최후의 보루로서 그 이전은 국가의 중대사"라면서 "짧은 시간 내 속전속결로 밀어붙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정권 이양기에 맞춰 북한이 잇따라 미사일을 발사하고 핵실험 준비 동향을 보이는 등 안보 취약기 군의 신속 대응에 대혼란이 우려된다"면서 "청와대 집무실로 국방부 청사를 사용한다면 적에게 우리 정부와 군 지휘부를 동시에 타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목표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 입장문에는 김 전 의장을 포함해 최세창·이필섭·조영길·이남신·김종환(31대)·이상희·한민구·정승조·최윤희·이순진 등 총 11명의 전직 합참의장들이 동참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했다.

윤 당선인은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방안'을 직접 발표하면서 "국민들께 불편을 드리는 측면, 청와대를 온전히 국민께 개방하여 돌려드리는 측면을 고려하면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결정을 신속히 내리고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어려운 일이지만, 국가의 미래를 위해 내린 결단이다. 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제대로 일하기 위한 각오와 국민과의 약속을 실천하고자 하는 저의 의지를 헤아려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