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이츠 직원 고용승계를"…대성산업 "법적 의무 없다"

입력 2021-11-15 18:56:32 수정 2021-11-16 21:56:06

공장부지 인수업체서 점거 농성

한국게이츠 해고노동자들이 대성산업 사무실 앞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제공
한국게이츠 해고노동자들이 대성산업 사무실 앞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제공

한국게이츠 해고노동자 10여 명이 지난 9일부터 고용승계를 요구하며 서울에 있는 대성산업 사무실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지만, 대성산업 측은 고용승계 의무가 없다고 밝혔다.

15일 한국게이츠 노조원들에 따르면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대성산업에서 점거 농성을 하고 있다.

민주노총 대구본부와 금속노조 대구지부, 한국게이츠지회 조합원 등 200여 명은 지난 3일 대구 북구 칠성동 대성산업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게이츠 공장 부지를 인수한 업체가 대성산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성산업 본사가 있는 서울에서 해고노동자 19명의 고용승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대성산업 측은 이날 "고용승계를 주장하는 한국게이츠 노조원 무단점거 사태에 대해 사회적 의무가 없다"고 밝혔다.

대성산업 측은 "고용승계란 기업인수로 동일한 업종이 유지될 때 가능하다. 대성산업은 한국게이츠의 공장 부지와 건물만 매입하려 했고, 이는 노동법상으로도 고용승계 의무를 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한국게이츠에 계약금만 지불했기 때문에 공장 부지와 건물에 대한 소유권은 우리에게 없다. 소유권도 이전되지 않은 단계에서 고용승계를 논의할 법적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자동차에 엔진 동력벨트 부품을 납품했던 한국게이츠는 지난해 6월 폐업을 통보했다. 이로 인해 노동자 147명이 일자리를 잃게 됐다.

노조는 한국게이츠가 매년 60억원 이상의 흑자를 내 대구 지역의 알짜기업으로 불렸고 폐업을 할 정도로 경영 사정이 악화됐다고 볼 수 없다며 '위장 폐업'이자 미국계 사모펀드 블랙스톤의 '먹튀' 행각이라고 주장해왔다.

한국게이츠 노조 관계자는 "대성산업은 고용승계 법적 의무가 없더라도 한국게이츠와 해고노동자 간의 분쟁이 있다는 걸 알고 매입했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을 피할 수 없다"면서 "사무실 앞 점거 농성으로 돌입한 것은 대성산업이 대화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성산업은 피해를 주장할 게 아니라 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