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 사업을 남북교류협력사업에 반영키 위한 작업 돌입

입력 2018-06-06 21:00:00

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 정부 남북교류협력사업 반영
북한 학계 네트워킹 위해 중국 연변대학교 적극 활용

번영과 협력의 새로운 남북시대를 대비한 대구시의 발걸음이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시는 '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 사업'을 현 정부 국가과제인 남북교류협력사업 아젠다에 반영하기 위해 최근 적극 나서고 있다.

우선 시는 지난달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났던 1907년 당시 북한의 참여 지역 조사연구를 완료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지역에서는 황해도(참여인원 21만1천698명)와 평안북도(1만1천893명)에서 가장 활발하게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관계자는 "황해도 지역에 당시 국채보상운동 사료가 많을 것으로 보고 개성에 (가칭)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2년 전부터 통일부와 협의 중"이라고 했다. 대구시가 최근 개성시와 자매·우호도시 결연을 추진하는 것도 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를 위한 행보다.

아울러 북한 학자들과의 네트워킹을 위해 중국 연변대학교를 활용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지난달 20~23일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관계자들을 연변대에 보내 북한과 접촉면이 넓은 대학 교수 5명과 만났다.

대구시에 따르면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관계자들은 연변대 교수들과 ▷남북교류 시기 및 방법과 형식 ▷북한 내 인적 네트워크 파악 ▷개성과의 교류 방법 ▷실천 방안 강구 등에 대해 협의했다. 오는 9월 열릴 예정인 원광대-연변대-북한 학자들이 참여하는 '만주 지역의 항일운동' 세미나에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도 참가하기로 했다.

민간차원의 남북 교류도 대폭 지원할 예정이다. 그동안 교류 전례가 있는 지역 문학`미술계 등 문화 분야의 남북 민간교류를 활성화한 뒤 이를 지방정부 간 교류협력사업으로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7월 열리는 치맥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앞으로 대구시가 주최하는 각종 축제`예술행사에 지역 거주 북한이탈주민 가족 및 어린이를 초청하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한만수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시가 민선 6기 들어 조성한 50억7천만원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이 있어 재원은 충분하다. 정부의 남북교류협력사업 아젠다에 시가 추진하는 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 등이 반영되는 것이 급선무"라며 "문화`체육 분야의 민간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