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抗訴) 포기 외압 의혹과 관련해 정부·여당을 상대로 총공세를 펼치는 중요한 시기에 집안싸움으로 삐거덕거리고 있다. 당 윤리위원장 사퇴 논란이 계파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고, 재창당 수준의 쇄신 요구가 터져 나온 것이다.
국민의힘이 내분(內紛)으로 인해 10·15 부동산 대책,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등으로 야권에 유리한 정국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여러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더불어민주당 40% 안팎, 국민의힘 20%대 중반의 지지율 구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여론조사 업체 조원씨앤아이가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15~17일 2천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당 지지율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은 42.2%, 국민의힘은 39.6%로 나타났다. 업체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가 다르며, 여론조사 결과가 '민심(民心)의 바로미터'는 아니다. 그러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부동산 대책 등 여권에 불리한 이슈들이 여론조사 결과에 반영(反映)되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국민의힘이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등의 이슈들을 지지율 반전(反轉)의 기회로 만들려면, 원팀으로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러나 임기가 두 달밖에 남지 않은 여상원 윤리위원장이 최근 당에서 사퇴를 종용(慫慂)받았다고 밝히면서 당 내부가 시끄럽다. 장동혁 대표가 윤리위원장을 교체해 자신에게 비판적인 한동훈 전 대표 측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란 당 안팎의 지적 때문이다. 엄태영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 전원이 참여하는 SNS 대화방에 '구정 전에 당명을 바꾸고 재창당 수준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당내에선 장 대표의 '우리가 황교안' 발언 등 지도부의 '우향우' 행보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107석의 국민의힘이 기댈 곳은 민심밖에 없다. 정부와 거대 야당의 독주(獨走)를 견제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하려면, 당내 통합을 이루고 미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그 시작은 국민의 상식에 부합한 재창당 수준의 당 혁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