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구 취수원 이전 변곡점 맞나…새 정부 첫 협의 착수

입력 2025-07-27 21:00:00 수정 2025-07-27 21:10:30

이르면 29일 안동서 환경부-TK 새 정부 들어 첫 실무회의
대구시·경북도·안동시·구미시·의성군·상주시 등 참석할 듯
대구시-구미시, 2022년 물 협정 파기 이후 3년만
내년 6월 지선 등 원만 합의까지는 진통 불가피

환경부는 이르면 오는 29일 안동에서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와 관련해 관계 지방자치단체들과 실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상공에서 바라본 안동댐 모습. 매일신문DB
환경부는 이르면 오는 29일 안동에서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와 관련해 관계 지방자치단체들과 실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상공에서 바라본 안동댐 모습. 매일신문DB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둘러싸고 새 정부와 대구시, 경북도, 안동시, 구미시 등 대구경북 지방자치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첫 협의에 나선다.

최근 환경부가 대구 취수원 이전에 대해 '전면 재검토' 입장을 밝힌 가운데 이번 협의가 향후 물 문제를 판가름할 변곡점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환경부는 이르면 오는 29일 안동에서 대구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실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회의에는 대구시와 경북도, 안동시, 구미시를 비롯해 취수원 신설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등 규제 영향권에 있는 의성군, 상주시 등도 참석할 것으로 파악됐다.

새 정부 들어 환경부와 대구경북 지자체들이 물 문제와 관련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처음이다. 특히 대구시와 구미시는 지난 2022년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골자로 한 '맑은 물 나눔 협정' 파기 갈등 이후 3년 만에 재개되는 자리다.

이를 두고 정부가 집권 초기부터 물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취임 이후 연일 현장 행보에 나서는 만큼, 추후 대구경북 현장 방문을 고려한 사전 협의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환경부는 대구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 등과 관련해 '전면 재검토' 방침을 밝히면서 그간 대구시가 추진한 안동댐 이전안은 동력을 상실, 구미 이전안 재논의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취수원 이전 후보지는 기존의 안동댐과 구미 해평취수장, 구미보 상류 지점인 일선교 부근 3곳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지자체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데다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앞두고 있어 합의까지는 진통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구시 관계자는 "안건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며 "각 지자체 입장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