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약달러'…원화 절상 요구 공식 개입 땐 파장

입력 2025-07-27 15:40:13 수정 2025-07-27 19:43:17

자국 제조업 보호'외채 부담 완화

영국 스코틀랜드 도착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영국 스코틀랜드 도착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준금리 인하와 미 달러화 약세를 거듭 강조하면서, 한미 간 통상 현안이 관세를 넘어 환율로 확장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원화 절상 요구를 공식화할 경우,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방문길에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나는 강한 달러를 좋아하지만, 약한 달러가 훨씬 많은 돈을 벌게 해준다"며 "약한 달러가 아니라 '더 약한 달러'(a weaker dollar)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강한 달러를 가지면 아무것도 팔 수 없다"며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없고, 인플레이션을 없애버렸다"고 주장했다.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압박과 함께 달러 약세 유도를 통한 무역수지 개선 의지를 다시 한 번 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그는 "일본과 중국은 늘 약한 통화를 원했고, 지난 20년간 중국이 해온 일은 약한 통화를 위한 싸움이었다"며 "일본도 경제가 좋을 때는 매우 약한 통화를 가졌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인식은 향후 한국 원화의 환율 수준을 둘러싼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 개입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한미 간 관세 협상에서 한국이 테이블에조차 오르지 못한 가운데, 향후 트럼프 대통령이 원화 절상을 요구하며 새로운 통상 압박 수단으로 환율을 들고 나올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무역수지 불균형과 관련된 환율 문제는 미국 정부가 반복적으로 주요 교역국을 압박해온 수단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수지 개선을 이유로 금리 인하와 달러 약세를 추구하면서, 상대국 통화 절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가 다시 반복될 수 있다.

실제로 그는 "약한 달러는 관세의 가치를 더 높게 만들어주며, 빚을 갚기도 쉬워지고 낮은 금리를 얻기에도 좋다"며 강달러 정책의 반대편에 서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는 자국 제조업 보호 및 수출 증진, 외채 부담 완화를 겨냥한 전략으로, 연준의 독립성을 무시하고 통화정책에 노골적으로 개입하겠다는 태도로도 읽힌다.

특히 한국은 대미 무역흑자가 지속되고 있는 주요 국가 중 하나로, 트럼프 대통령의 '불균형 해소' 명분에 따라 원화 강세 압력을 받을 여지가 크다. 지난 4월 이후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국들과 연이어 관세 협상을 타결한 반면, 한국은 협상 테이블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코리아 패싱' 논란이 커지고 있으며, 미국이 향후 협상 국면에서 환율을 주요 의제로 올릴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