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협력 거점으로 자리매김한 경북대 오픈랩
이차전지부터 간암 관리까지…8개 특화 오픈랩 가동
경북대학교(총장 허영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이 추진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오픈랩(Open-lab) 육성지원사업(이하 오픈랩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5년 연속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경북대는 약 24억 원의 국비를 지원 받아 지역 산업 기반의 기술사업화와 산학연(대학-기업-연구기관) 협력체계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픈랩 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고급 인력, 연구 장비·시설, 특허 등 연구 성과를 지역 기업에 개방(오픈 이노베이션, Open Innovation)하고, 기업 맞춤형 공동연구 및 기술지원을 통해 기술 사업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를 돕는 사업이다.
경북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특화산업 수요기반 오픈랩 운영 ▷출연연(정부출연연구기관)·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 구축 ▷기업발굴·지원 혁신기관 협의체 운영 등을 추진한다.
경북대가 구성한 오픈랩은 총 8개로 ▷이차전지 진단기술 고도화 ▷반도체 기반 바이오센서 ▷탄소기반 유·무기(유기물과 무기물) 하이브리드 부품 소재 사업화 ▷미래모빌리티 △지속가능 에너지 공정 ▷나노바이오포트로닉스 ▷고도처리 ▷인공지능 기반 간암 전주기관리 오픈랩 등이다.
앞서 지난 5월 경북대는 오픈랩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대구·경북테크노파크, ㈜티비즈, 특허법인 다나 등 총 7개 산·학·연·관(산업계·대학·연구기관·행정기관)과 함께 '오픈랩 사업운영위원회'를 발족하고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김규만 경북대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사업 선정을 계기로 대학과 기업 간 선순환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기술이전과 사업화가 실질적으로 이뤄지는 산학연 협력 거점으로 역할을 다하겠다. 대구경북의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R&BD(연구개발성과 사업화 연계) 성과가 기업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한동훈 "尹 지키자는 세력은 극우 맞아…국힘 이러다 진짜 망해"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
文정부 장관, 강선우 갑질 폭로…"민원 안 들어주니 예산 삭감"
이진숙 후보자, 李 정부 첫 낙마…'갑질 의혹' 강선우 안고 가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