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25% 현실화되면 한국산 차·스마트폰 얼마나 오를까?

입력 2025-07-17 16:03:49 수정 2025-07-17 20:37:35

일본, 독일 주요 완성차 기업 가격 인상 시작…평균 5% 내외
스마트폰 IT기기 관세율을 그대로 적용해야 영업익 상쇄 가능

현대자동차가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5'에 이어 '아이오닉 9' 기반의 드론 스테이션 구축을 완료하고 울진군 일대 생태 복원 사업에 힘을 보탠다고 17일 밝혔다. 사진은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9 씨드볼 드론 스테이션'과 '아이오닉 5 모니터링 드론 스테이션'. 연합뉴스

상호관세 25%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산 제품의 미국 판매 가격의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4월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동차 및 차부품 품목 관세가 25% 적용된 이후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17일 미국 자동차 시장 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6월 신차 평균가격은 4만8천907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 제조사 권장 소매 가격도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주요 해외 업체의 상승률을 보면 일본의 혼다(3.5%), 도요타(1.6%) 등이 평균 판매 가격을 올렸고 독일의 폭스바겐(9.3%)도 판매가 인상 행렬에 동참했다. 특히 이달 초 일본자동차산업협회(JAMA) 소속 기업 다수가 "영업이익 감소를 감수하기 힘들다"며 가격 인상을 시사하면서 향후 가격이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그룹은 아직 가격 인상을 공식화하지 않았으나 고율 관세 적용 시 버티기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원가 절감을 통한 대응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준 해외 완성차 기업의 평균 인상률을 고려하면 5% 내외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IT 분야 주요수출 품목도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인상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의 IT 전문 매체 씨넷(CNET)은 관세 부과율이 아이폰에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에서는 스마트폰에 관세를 적용할 경우 관세율에 상응하는 가격 인상이 이뤄져야 영업이익을 방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에서 아이폰 90%를 생산하는 애플에 비해 유리한 입장이다. 최근 미국 정부가 베트남에 대한 관세율을 낮추기로 결정하면서 향후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란 긍정적 전망도 나온다.

전자업계 한 관계자는 "대다수 기업들이 관세 적용에 따른 가격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을 위해 마진(이윤)을 줄이거나 피해를 감수하는 전략도 검토할 수 있지만 적자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관세 협상이 진전을 이뤄서 상호관세율을 조금이라도 낮추는 것이 최선"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