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日군함도 후속조치, 한일협의 안되면 유네스코 나서야"

입력 2025-07-15 19:35:09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서 발언…"日 책임있게 참여해야"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에서 설치된 세계문화유산 안내판. 일제 강점기 조선인에 대한 설명은 적혀 있지 않다. 연합뉴스

정부는 15일(현지시간) 일본이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하시마(端島·군함도) 탄광 등 근대산업유산의 인정 등 후속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과 관련, 양자 차원의 협의가 진전이 없을 경우 유네스코가 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상미 주유네스코대사는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이하 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발언권을 얻어 일본의 부실한 근대산업유산 등재 후속조치를 논의하지 못한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같은 주장을 펼쳤다.

이는 지난 7일 세계유산위 회의에서 한국이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를 잠정 의제에서 정식 의제로 채택하려던 시도가 일본의 반대 속에 위원국 표결을 거쳐 무산된 점을 언급한 것이다.

박 대사는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은 위원회가 네 차례 결정을 통해 각 유적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전략을 개발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며 "그러나 거의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행이 미흡해 우려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 인근 해상의 유람선에서 보이는 군함도. 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 등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다. 하지만 2020년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유산 현장이 아닌 도쿄에 설치하고 조선인 강제노동을 전혀 다루지 않는 등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박 대사는 "한국은 위원회 결정의 온전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앞으로도 건설적이고 책임 있는 자세로 양자 협의를 포함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일본이 이 과정에 건설적이고 책임 있는 자세로 참여해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지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쿄 산업유산 정보센터의 해석 전략의 미비점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원회는 지속적인 책임의 일환으로 이 문제에 대한 관여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