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률 52% 논문 공개되자 학계 단체들 "교육계 신뢰 무너진다"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을 둘러싼 진위 공방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학술 논문 다수가 표절 의혹에 휩싸인 가운데, 학계 단체들이 직접 나서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교수협회,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전국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14일 오후 서울 중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후보자의 논문 검증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은 "표절 및 저자 표기 문제 모두 심각한 수준"이라며, "교육부 수장을 맡기엔 도덕성과 학문 윤리에서 모두 결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검증단이 중점적으로 지적한 논문은 2009년 발간된 공동주택 야간경관조명 사례조사를 통한 조명디자인 감성평가였다. 해당 논문은 제자의 석사 학위 논문을 기반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자가 제1저자로 등재된 점이 문제가 됐다. 표절 검증 결과, 표절률이 무려 52%에 달했다는 것이 검증단의 설명이다.
검증단은 "교수가 학술지 논문을 게재할 때 통상 표절률은 1~2%를 넘지 않는다"며 "50% 이상이 나왔다는 것은 사실상 베껴 썼거나, 학생의 작업을 그대로 가져다 쓴 것"이라고 지적했다. 나머지 7편의 논문에서도 최소 17%에서 최대 40%에 이르는 표절률이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자는 앞서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참고자료에서 "해당 논문의 실질적 저자는 본인이며, 제1저자 등재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검증단은 이러한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지도교수가 실질적 저자라면 학위논문은 학생이 작성하지 않은 셈이 된다"며 "통상 교신저자로 표기하는 것이 학계의 기본 윤리"라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자가 스스로 '실질적 저자'임을 주장하는 것은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셈"이라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검증단은 끝으로 "교육부 장관이 표절 논란의 중심에 서는 것은 단순한 인사검증을 넘어, 대한민국 학계 전체의 신뢰와 윤리에 영향을 미친다"며 "이 후보자는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대통령 역시 이에 대해 단호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논문 검증에는 김건희 전 대통령 부인의 박사 논문을 표절로 판단했던 전문가들이 포함돼 있어, 학계 내부의 문제 제기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검증단은 당시에도 김 전 대표의 박사 논문 표절률이 40%에 달한다는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모범생' 부모-기간제 교사 '시험지 유출 거래' 전방위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