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동맹 관계 약화할 가능성 ↑
일본에 승리한 날 기린다고 하지만
6.25전쟁 적군인 인민해방군 기념
80주년 전승절에도 논란 반복될 여지
2015년 9월 3일 중국의 70주년 전승절 행사에 참석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의 행보를 두고 국내외적으로 거센 논란이 일었다. 중립외교 실현이라는 청사진도 있었지만 기존 동맹관계를 약화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맞섰다.
보수세력 일각에서는 6.25전쟁의 적군이던 인민해방군의 열병식을 지켜보며 박수를 치는 박 전 대통령의 모습은 중립외교로 포장하더라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시각이 팽배했다. 더구나 중국의 '군사굴기(軍事崛起)'를 과시하는 자리가 될 것을 우려한 서방 국가 정상들은 불참했던 터였다. 중국의 군사 패권주의 과시 무대의 들러리가 될 필요가 있느냐는 비판이 비등했던 까닭이다.
행사의 정식 명칭조차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대회'였다. 국가 원수가 참석한 나라는 중국의 우방국이었다.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옛 소련 국가들을 비롯해 베트남, 캄보디아 등 인접한 사회주의 국가, 베네수엘라,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콩고, 수단 등이 포함됐다.
당시 청와대는 의미 부여에 애썼다. "중국과의 우호 협력 관계 증진의 필요성과 함께 북핵 문제 해결 등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및 평화통일 촉진에 대한 중국의 기여와 역할을 기대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하는가 하면 "광복 70주년을 맞아, 20세기 초 암울했던 시기에 우리 선열들이 항일 독립운동과 항쟁을 전개한 곳이 바로 중국 대륙이었다는 점에서 우리 독립 항쟁의 역사를 기리는 측면을 감안했다"고 했다.
미국, 일본 등 기존 동맹국들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냄에도 행사 참석을 강행한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거칠었다. 오랜 동맹인 미국의 신뢰를 깎아먹을 개연성이 높다는 지적은 물론 한국이 중국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중국 경사론(傾斜論)'도 미국 정계와 오피니언 리더 그룹 등에서 제기됐다.
박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자리에 모이기에 새로운 조합을 기대할 수 있다는 다소 들뜬 풀이도 있었다. 그러나 중·러를 보는 미국의 시각은 냉정했고 이를 간과한 해석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또 북핵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역할을 당부한다는 계산도 실제와 달랐다. 중국은 북한을 제어하지 못했다. 다만 한중 경제관계에 훈풍이 불어왔는데 이마저도 이듬해 7월 사드 미사일 배치 합의 직전까지 불다 말았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정진호의 每日來日] 청포도의 꿈, 청진과 포항 쇳물로 길을 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