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수도권 인재 집중 현상 속에서도 우수 교수 잇따라 영입 '쾌거'

입력 2025-07-01 15:32:18 수정 2025-07-01 18:41:46

파격적인 지원과 연구중심대학의 강점이 매력

왼쪽부터 이남윤·조철현·최영준 교수. 포스텍 제공
왼쪽부터 이남윤·조철현·최영준 교수. 포스텍 제공

포스텍(포항공대)이 우수한 연구 환경과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도권 명문대 교수들을 잇달아 영입해 눈길을 끌고 있다.

올해 포스텍은 이남윤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전 고려대 교수)와 조철현 수학과 교수(전 서울대 교수)를 영입했다.

2022년 포스텍을 떠났다가 3년 만에 재부임한 이 교수는 5G·6G 거대 다중안테나 전송 기술 및 차세대 위성통신 분야 세계적인 전문가다.

그는 ▷2020 IEEE 통신분과 젊은 연구자상 ▷2021 IEEE-IEIE 올해의 IT 젊은공학자상 ▷2021 한국통신학회 해동 젊은 과학인상 등을 받았다.

또 이달 1일자로 부임한 조 교수는 수학의 기하학 및 대칭성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학자로, 2023년 대한수학회 최고 권위상인 '디아이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두 교수는 소규모 정예 시스템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제도적 유연성을 포스텍의 큰 강점으로 꼽았다. 이는 대형 종합대학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점으로 수도권을 떠나 포항을 선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포스텍도 교수들의 이 같은 선택을 응원하기 위해 신임 교원의 초기 정착 지원금을 5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또 학문적 특수성과 탁월한 역량을 갖춘 전임교원에게는 지원 규모나 범위에 제한 없이 투자를 진행한다.

특히 국내 최초로 만 50세부터 정년을 70세까지 미리 확정할 수 있는 '정년연장 조기결정 제도'도 도입했다.

오는 8월에는 캘리포니아주립대 산타바바라캠퍼스 박사후연구원 최영준 박사도 물리학과에 합류한다.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과학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에 제1저자로 논문 4편을 발표하는 등 '저차원 전자 양자 현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포스텍은 그의 뛰어난 연구 역량을 인정해 초기 정착비와 특별지원금을 포함해 총 1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종봉 포스텍 교무처장은 "전국적인 수도권 집중 현상 속에서 연구 업적이 탁월한 교수들이 포항을 선택한 것은 연구 환경 수준과 독자적인 경쟁력이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연구 중심 대학으로서 국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