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묘지 조성 후 첫 참배
망월묘역 이한열 묘소도 37년 만에 찾아
노재헌 "마지막 5월 될지도 몰라 무리했다"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부인 김옥숙(90) 여사가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김 여사는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일 이튿날인 19일 5·18 묘지를 찾았다.
5·18묘지 관리사무소에 미리 일정을 알리지 않고, 아들 노재헌(60) 동아시아 문화센터 원장과 일부 수행원만 동행했다.
김 여사는 방명록에 '광주 5·18 영령들께 진심으로 죄송하고 또 감사합니다. 과거 한을 풀어드리기 위해 나름 노력하였으나 부족한 점 너그럽게 용서해 주시기 바랍니다. 영원히 대한민국의 앞날을 굽어살펴 주시길 빕니다.'라고 남겼다.
거동이 불편한 김 여사의 방명록은 노 원장이 대필했다.
김 여사는 참배 소회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도 건강 문제로 답변하지 못했다.

노 원장은 "건강 상태가 많이 안 좋아져서 금년이 마지막 5월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무리해서 모시고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머니 본인이 꼭 한번 와보고 싶다는 말씀을 항상 피력하셨다. 1988년에 (망월동 묘역에) 처음 오신 이후에 꼭 한번 오시고 싶어 하셨는데 여의치 못하셨다"고 덧붙였다.
김 여사의 5·18 민주묘지 참배는 1997년 5월 조성 이후 처음이다.
김 여사는 1988년 2월 노 전 대통령 취임식이 끝난 직후 옛 묘역을 찾아 참배한 적이 있다. 망월동 옛 묘역은 5·18민주묘지가 조성되기 전까지 5·18 희생자와 함께 민주화운동 희생자를 안장한 곳이다.
이날 김 여사는 휠체어를 탄 채 참배단에 분향했으며 직전에는 5·18 구묘역이라고 불리는 망월동 묘역도 찾아 고(故) 이한열 열사의 묘소를 참배했다.
참배를 마친 김 여사는 노 원장 등 일행과 함께 서울로 돌아갔다.
노 원장은 노 전 대통령의 유지에 따라 여러 차례 5·18묘지를 참배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