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진 탈당해 대선 부담 주지 않아야' 여론 속 결단 주문
'민주화' 이후 임기 끝까지 당적 유지 대통령 2명 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해 6·3 대선에서 당의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여론이 이는 가운데 김용태 국민의힘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자진 탈당을 요구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비대면으로 진행된 전국위원회에서 자신의 비대위원장 임명 안건이 가결된 후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국민의힘 탈당을 요청한다"면서 "윤 전 대통령이 대선 승리를 위해 결단해 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김 비대위원장은 대통령과 여당 사이에서 발생해 온 고질적인 폐해를 타파하기 위해 ▷당정 협력 ▷당-대통령 분리 ▷사당화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당-대통령 관계' 3대 원칙을 당헌·당규에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힘 한 중진은 "비대위원장이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 두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같은 생각을 가진 당내 세력들을 규합해 윤 전 대통령에게 선당후사의 결단을 촉구하는 형식으로 압박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 비대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 탈당을 공식 요청했지만, '당무 우선권'을 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윤 전 대통령과 관계 설정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아 일각에선 혼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당적 관련 거취는 윤 전 대통령이 결정할 사안'이라는 유보적인 입장을 이어오고 있다.
정치권에선 국민의힘이 대선 득표율 제고를 위해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비대위원장은 당의 혁신과 반성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중도 성향 유권자들을 설득하는 역할을 맡고, 대선 후보는 윤 전 대통령 지지층을 포함하는 '집토끼'를 끌어안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한편 이른바 '87년 체제' 이후 탄생한 역대 8명의 대통령 가운데 퇴임 후 당적을 유지한 경우는 이명박·문재인 전 대통령 두 명뿐이다.
나머지 대통령들은 대부분 임기 마지막 해에 친인척 비리를 비롯한 각종 논란이 불거지거나, 같은 당의 차기 대권 주자들의 희생 요구에 당적을 내려놨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홍준표 "대선 끝날 때까지 정치포스팅 중단…당에서 밀려난 처지"
TK서 김문수 지지율 '50%선' 붕괴…국힘, 지역에 의원들 급파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이재명 "빚내서 집 사는 시대 끝나…'가짜 성장' 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