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아트피아 공연기획팀장
어린이날이 다가오면 우리 공연장은 눈에 띄게 분주해진다. 하루를 즐겁고 만들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의 손길이 닿는다. 관람 동선을 체크하고,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을 미리 제거하며, 조금이라도 더 나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점검한다. 처음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선한 마음들이 모여 설레는 마음으로 준비를 시작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해야 할 일들은 점점 눈덩이처럼 커져가며, 준비가 부담으로 느껴지기 시작한다. 그렇게 몰아치는 긴장감 속에서 문득 이런 생각이 스쳤다. 지금 이 감정은, 마치 여행을 준비하는 전날의 내 모습과 너무나 닮아 있다는 걸.
우리는 먼 미래의 여행을 계획할 때면 꿈에 부풀어 오른다. 하지만 여행을 앞둔 하루 전, 현실의 무게는 부담으로 다가온다. 늦게까지 짐을 싸며 빠뜨린 건 없는지 동동거리고 동행과 은근한 마음 상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긴장감에 전날 날 밤 잠들다 깨기를 반복한다. 급기야 "내가 이 여행을 왜 하자고 했을까, 다음엔 절대 가지 말아야지"하고 후회하는 마음까지 올라온다.
그런데 참 신기하게도, 여행지에 도착하는 순간 모든 복잡한 감정은 씻은 듯이 사라진다. 첫 풍경을 마주하는 그 순간, '오길 정말 잘했다'는 말이 절로 나오고, 전날까지 속을 뒤흔들던 스트레스와 갈등은 언제 그랬냐는 듯 웃음 속에 묻힌다. 결국 여행은 '다시 가고 싶은 경험'으로 남게 되고, 어느새 다음 여행을 계획하게 된다.
공연도 이와 다르지 않다. 처음 기획을 시작할 때는 막연한 기대와 열정으로 가득 차 있다. 머릿속에는 관객들이 공연을 보고 기뻐하는 장면, 어린이들이 행사장에서 뛰노는 모습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 하지만 현실은 늘 이상보다 무겁다. 준비를 이어가다 보면 예상치 못한 문제가 계속 생기고, 예산은 늘 빠듯하며, 팀원 간의 의견 차이도 불가피하다. 하루하루가 넘어야 할 산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준비 과정에 누군가가 상처가 되기도 한다. 결국 처음의 기획 의도를 잊어버릴 때도 있다.
그렇지만 공연의 막이 올라가는 그 순간, 무대 위의 시간은 관객과 함께하는 여행처럼 느껴진다. 아이들의 웃음 소리, 눈빛으로 전해지는 감동은 그동안의 모든 수고를 '그래서 해볼 만했다'는 기쁨으로 바꿔준다. 공연을 함께 본 관객들은 마치 여행을 함께한 친구처럼 느껴지고, 뜻하지 않게 마주한 돌발 상황조차도 나중에는 특별한 추억이 되어 남는다. 그렇게 한 무대는 '다음에 또 해보고 싶다'는 다짐을 남긴 채 막을 내린다.
우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계획하지 않는다면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조차 닫혀버린다. 여행이든 공연이든, 시작하기 전엔 늘 힘들고 두려운 순간이 따르지만, 그렇다고 시작하지 않으면 남는 건 아무것도 없다. 결국 우리가 힘들게 공연을 준비하고, 무대를 올리는 이유는 바로 그 특별한 한순간을 함께 나누기 위해서다.
힘든 과정을 지나 도착한 무대 위, 그곳은 우리가 모두 '오길 잘했다'고 말할 수 있는 여행지와 같은 곳이다.
댓글 많은 뉴스
김기현 "김문수, 단일화 믿은 당원에 사과해야"…"의원 20명 창당? 100% 반대" [뉴스캐비닛]
김무성 단식 중단…"후보 교체 비민주적, 동의 못해"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 진행"
한덕수 전 총리, 국민의힘 전격 입당…"대한민국 기적 끝나선 안 돼"
공수처, '李 파기환송' 조희대 대법원장 고발사건 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