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운동기간 시작 후 재판 진행, 위헌적 정치재판"
이석연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이 6일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상고심 재판과 관련해 "사법권의 한계를 벗어난 위헌적 정치 재판"이라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헌법연구관과 법제처장을 지낸 바 있다. 그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이 헌법을 통해 법관에게 부여한 남을 심판할 수 있는 권한의 범위를 벗어난 판결"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민주주의는 절차 내지 수단을 존중하는 것이지 목적만 앞세우는 게 아니다"라며 "적법 절차의 준수가 무시되면 추구하는 목적과 관계없이 공권력의 남용이자 위헌적 처사가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속전속결로 6·3 대선 이전 선고를 강행한다면 그 판결은 위헌·무효일 뿐 아니라 그때부터 대한민국 법치주의는 무너지는 것"이라며 "(법관) 탄핵 여부를 떠나서 이건 대법원의 범죄 행위"라고 주장했다.
서울고법이 파기환송심 재판 기일을 15일로 지정한 것에 대해서도 이 위원장은 "15일은 본격적 선거운동 기간"이라며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모든 후보에게 균등한 기회가 보장돼야 한다는 게 헌법 정신"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후보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긴 검찰의 기소 행위 자체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패배자에게 다시 칼을 들이댄 것"이라며 "낙선자로서 국민의 심판을 받은 상황에서 이를 다시 끄집어내는 부관참시 판결"이라고 평했다.
현직 대통령의 불소추특권을 규정한 헌법 84조와 관련해서는 "재판은 공소제기의 연장선상이기 때문에 당연히 소추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라며 대통령 당선 시 형사 재판이 정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법관 증원 주장에 대해선 "대법관 수를 25명 내외로 늘려야 한다"며 "그래야 재판받을 권리를 충실히 담보할 수 있다"고 찬성했다.
다만 조희대 대법원장 탄핵 주장에 대해서는 한발 물러섰다.
이 위원장은 "조 대법원장이 위헌적인 판결을 한 데 대해 책임져야 할 상황"이라면서도 "다만, 개인적으로는 탄핵에 대해선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조 대법원장이 '파기자판'(대법원이 원심을 파기하면서 사건을 돌려보내지 않고 직접 판결하는 것)을 하려 했지만, 대법관들의 반대로 파기환송 결정을 내린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 위원장은 "조 대법원장이 '차라리 파기자판을 할걸' 후회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며 "파기자판에 대해서는 대법관들이 반대했을 가능성도 크다"고 주장했다.
한편,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서면브리핑에서 "법원이 벼락같은 재판 진행으로 이재명 후보를 옥죄려는 것처럼 보인다"며 "즉시 모든 후보의 공판 일정을 선거 이후로 연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선거운동 기회 균등은 헌법 116조가 보장하고 있다. 이같은 헌법적 가치는 한번 침해되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며 "선거운동 기간 (특정 후보에 대한) 공판이 진행된다면 극도로 불공정한 일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후보에게는 다른 사람과 동등한 선거운동을 할 헌법적 권익이 있다"며 "법원이 인권 수호의 보루라면 그 권익을 침해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 "당이 나를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아" 유감 표명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