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유죄 파기환송 "잘됐다" 46% "잘못됐다" 42%

입력 2025-05-06 09:27:20 수정 2025-05-06 10:42:09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골목골목 경청투어' 사흘째인 3일 강원도 삼척해수욕장을 찾아 도민들을 만난 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선출과 관련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관해 대법원에서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한 가운데, 해당 판결이 '잘된 판결'이라는 응답이 46% '잘못된 판결'이라는 응답이 42%로 나타났다.

6일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3~4일 만 18세 이상 성인 1천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전화를 활용한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눈에 띄는 점은 20대(18~29세)와 30대 응답이었다. '잘된 판결'이라는 응답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독 높았다. '잘된 판결'과 '잘못된 판결' 응답이 20대의 경우 51% 대 24%로 나타났고, 30대는 56% 대 30%로 나타났다.

한편, 보수 진영 단일 후보로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가 39%의 지지를 얻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30%)에 오차 범위 밖으로 앞섰다.

두 후보 중 누구로 단일화해야 하냐는 질문에 한 후보가 39%, 김 후보가 30%였다. 격차가 9%포인트로 오차범위(±3.1% 포인트)보다 컸다. '의견 없다'는 29%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좁혀보면 한 후보가 65%, 김 후보가 27%로 크게 벌어졌다.

중앙일보는 전체 대선 후보를 놓고 선호도를 물었을 때 김 후보를 선택한 응답자 가운데 30%는 단일화 선호도에서 김 후보가 아닌 한 후보를 택했다고 보도했다.

가상 4자 대결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7%, 한 후보가 23%, 김 후보가 13%,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4%를 얻었다.

보수 단일화를 전제로 한 가상 3자 대결에서는 김 후보가 나설 경우 이재명 후보 49%, 김 후보 33%, 이준석 후보 9%였다.

한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 이재명 후보 49%, 한 후보 36%, 이준석 후보 6%였다.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는 김 후보 16%포인트, 한 후보 13%포인트로 오차범위 내였다.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이재명 후보 52% 대 김 후보 39%, 이재명 후보 51% 대 한 후보 41%로 집계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