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19개 국내은행 가계 예대금리차 평균 2.00%포인트
2년 만에 최대… 신한·하나는 2022년 7월 공시 이래 최대 기록
은행권 "가계대출 재확대 조짐에 대출 가산금리 내리기 부담"
은행권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격차가 2년여 만에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금리 하락에 속도가 붙은 데 반해 대출금리 하락은 더딘 상황이 이어지면서다.
5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국내은행 19곳의 가계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2.00%포인트(p)로 집계됐다. 가계 예대금리차가 2%p대로 벌어진 건 지난 2023년 2월(2.21%p) 이후 처음이다.
지난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 예대금리차 수준은 평균 1.47%p로 나왔다. 이중 신한은행(1.51%p)과 하나은행(1.43%p) 예대금리차는 지난 2022년 7월 공시가 시작된 이래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iM뱅크(옛 DGB대구은행)의 경우 1.21%p로 지난 2월(1.23%p)보다 다소 축소됐다.
은행권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8월(1.30%p)부터 8개월 연속으로 확대된 상태다. 지난해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늘고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이 대출수요 억제 방안을 주문했고, 은행권이 이를 반영해 대출 가산금리를 상향 조정한 게 배경이다.
올해 들어서도 가계대출 확대세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탓에 대출금리를 내리기 조심스러운 상황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반면 예금금리는 지난해 10월 기준금리 인하를 계기로 빠르게 내려오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달 26개 예·적금, 입출금식 상품 금리를 0.10~0.50%p 낮췄고, 우리은행도 예·적금 금리를 0.10~0.25%p 인하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 3월 주춤했다가 다시 늘어나고 있는 만큼 대출 가산금리를 낮추는 건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 금융당국 반응과 대출 쏠림 현상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라며 "이번 달에도 예대금리차를 뚜렷하게 줄이는 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